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40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울감은 당신의 뇌를 잠식한다 …뇌 연구 최전선으로 떠오른 '코로나 우울'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보고 있다.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뇌-컴퓨터 연결 기술 기업 '뉴럴링크'도
전기
자극으로 우울증을 치료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코로나19 우울증을 포함한 우울증 진단을 선진화하는 방법도 개발되고 있다. 우울증 진단은 현재 전문의와의 대화나 관련 질문지를 푸는 방식으로 ... ...
[과기원은 지금] GIST, 비싼 이리듐 사용량 반으로 줄인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박찬호 융합기술원 에너지융합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얻는 수전해 기술에 적용 가능한 고효율 이리듐 산화물 촉매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수전해 기술은 친환경 수소 생산이 가능하지만 촉매로 사용되는 이리듐은 비싼 게 ... ...
LA, 2045년 100% 재생에너지 도시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옥상의 태양광발전 시설 설치가 지역의 에너지 생산에 중요하며, 모든 교통수단을
전기
로 전환하면 공중보건 혜택이 열악한 지역민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 ...
[랩큐멘터리]지구에서 가장 높은 열보다 THE 뜨거운 연구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있다. 연구실이 수행하는 연구는 직접적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열로 활용하는
전기
를 생산하는 발전소의 안전 설계와 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된다. 또 휴대전화나 랩톱 컴퓨터 등 다양한 모바일 전자기기의 냉각, 인공후각 및 뇌혈관 분석 등 다양한 시스템 설계에도 사용된다. 열수력및에너지 ... ...
펜으로 그리면 입체 구조물되는 4D 프린팅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간편하면서도 빠른 속도로 3D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서울대는 권성훈
전기
·정보공학부 교수가 김지윤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잉크 펜과 물만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4D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
주변 물질 삼키고 에너지 내뿜는 블랙홀 자기장 모습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밝혔다. ○편광은 강력한 자기장 존재의 근거 빛을 포함하는 전자기파는 자기장과
전기
장이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진행한다. 특별한 방향성을 주지 않는다면 모든 방향으로 진행한다. 우주의 둥근 천체는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빛을 발산하기 때문에 이를 관측하면 구 형태를 띤다는 사실을 ... ...
인공 미니 뇌 활동, 정밀하게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박윤석 박사후연구원은 “3차원 오가노이드의 연구의 발전에 비해 이를 활용하여
전기
생리학을 연구하는 방법은 아직 평평한 2차원 전극 밖에 존재하지 않았다”며 “개발된 소자는 실크가닥처럼 유연하며 3차원으로 뇌에서 여러 유형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신경 ... ...
전기
차 핵심 리튬이온전지, 30년간 가격 97%까지 떨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트랜식 교수는 “리튬이온전지 가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는 일은
전기
자동차 확대를 포함해 기후변화 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 ...
부작용 없는 뇌 신호 측정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살아있는 쥐의 뇌에 삽입해 빛으로 뇌 신경을 자극, 탐침의 전극을 이용해 자극된 뇌의
전기
신호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탐침에 비해 1000배 이상 유연하며 뇌에 면역반응을 유발하지 않고 광도파로를 통해 직접 외부 빛을 전달해 뇌의 신호를 측정한 것이다. 연구진은 인체 뇌세포에서 ... ...
기업 주도 인공위성 양산 시대 첫 장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400억 원 정도로 추산된다. 이는 차세대중형위성과 유사한 급의 일본 민간기업 일본
전기
가 개발한 정밀지상관측위성 ‘아스나로 1호’ 개발비용의 59% 수준이다. 통상 6~7년이 걸리던 국가 위성개발 또한 2호 기준 3년으로 단축됐다. 정부는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사업으로 국내 우주산업체의 위성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