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뉴스
"
이론
"(으)로 총 2,968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100% 쓰면 영화처럼 초능력자 될까
2014.09.12
지도를 조금씩 알아내고 있는 수준”이라며 “여러 세대에 걸쳐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면
이론
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현재 생명과학계에서는 유전자 조작으로 일부 유전자의 기능을 강화시켜 후손에게 물려주는 연구가 활발하다. 가령 식물 종자에 방사선을 ... ...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느낌이 들어 관람객들의 큰 인기를 얻었다. 영상은 정하웅 KAIST 물리학과 교수의 복잡계
이론
에서 영감을 얻어 작품화했다. 김희원 작가의 시간을 형상화한 ‘누군가의 시계’와 사진을 소재로 삼은 ‘누군가의 창문’도 눈길을 끌었다. 김 작가는 “표준연 광도센터 이동훈 연구원과 대화하면서 ... ...
헉! 초속 300m ‘초강력 슈퍼 울트라’ 토네이도
2014.09.05
교수는 “초속 300m 정도로 빠르게 움직이는 토네이도는 아직 관측된 적이 없지만
이론
적으로는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현재 기상학자들은 토네이도의 강도를 EF0등급에서 EF5등급까지 ‘후지타 스케일’로 분류한다. 가장 파괴력이 큰 EF5등급에 속하는 토네이도도 순간 최대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이웃 규칙(nearest neighbor rule)’이라고 부른다. 자기 추진 입자 모형이라는 물리학
이론
으로 메뚜기 떼의 형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2006년 ‘사이언스’에 실렸다. 군대 행진처럼 열을 맞춰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집트땅메뚜기 떼의 모습. - Ralf Peveling/바젤대 제공 SPP 모형은 199 ... ...
이공계 출신 재계 리더들이 10년째 초등학교에…
2014.08.28
제공 “10년을 이어 온 ‘주니어 공학기술교실’이 최근 초등 교과과정의 기본
이론
이 된 스팀(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 Mathematics) 교육의 밑바탕이 됐다고 평가합니다.” 27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 HIT빌딩 6층. 기업 소속 엔지니어들이 초등학교에 직접 찾아가 재미있는 실험을 하거나 ... ...
올리브오일로 나노입자 만든다
2014.08.26
기판이 아닌 용액에서 금 나노입자를 만들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됐다.
이론
적으로 용액 속에서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실용화에도 유리하다. 하지만 용액 공정의 까다로운 합성 조건과 복잡한 공정이 발목을 잡아 쉽진 않았다. 연구팀은 겨울철 물 분자의 확산으로 눈 결정이 가지 모양으로 ... ...
“교육과정 개정안은 이과 폐지안”
2014.08.25
성명서에 따르면 이번 교육과정 개정안은 교육학과 심리학을 포함하는 등 교육
이론
전문가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며 개정 작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교육부가 이번 개정 작업을 교육학자 11명에게 6개월 안에 완성하도록 하면서 국가의 미래 비전에 대한 진지한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유전’이란 이런 각인이 다음 세대, 그 다음 세대까지 이어지는 현상으로 기존
이론
으로는 설명이 안 된다. 이 영역을 개척한 생물학계의 이단아가 바로 미국 워싱턴주립대의 마이클 스키너(Michael Skinner) 교수다. 스키너 교수는 원래 농약이나 항균제 같은 화학물질이 생식계에 어떤 영향을 ... ...
차세대 로켓 엔진 승자는?
2014.08.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온엔진은 양이온을 광속에 가깝게 내뿜기 때문에
이론
적으로는 작용-반작용 법칙에 의해 탐사선을 광속 가까이 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료소비효율이 뛰어나 수명이 긴 점도 이온엔진의 특징이다. 일본의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는 2000년 ... ...
영화 속 거대한 바다 소용돌이 만든 수학자, 가우스상 영예 안아
수학동아
l
2014.08.14
뉴욕대 쿠랑연구소 교수(36)에게 돌아갔다. 그는 ‘유일게임 추측’을 제시해 계산복잡도
이론
을 발전시켰다. 유일게임이란 어려운 문제 가운데 가장 간단하게 보이는 문제를 정의하는 것을 뜻하는데 코트 교수는 적당한 시간 안에 유일게임의 답을 찾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수학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