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문단의 귀재 이윤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있습니다.”목성의 또다른 명칭인 주피터(Jupiter)는 제우스의 로마식 이름이다. 어느날
하늘
에서 지상을 내려다보던 제우스의 눈에 예쁜 남자아이 가뉘메데스가 발견됐다. 동성애에 빠져있던 제우스는 이내 독수리로 변신해 가뉘메데스를 천상으로 납치해온다. 이후 가뉘메데스는 제우스의 사랑을 ... ...
쇼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기록해야 한다. 그래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토요일 오전 11시 7분.
하늘
색 티셔츠와 청바지를 입은 중년의 대머리 남성이 할인매장 잡화부에 들어선다. 그는 곧바로 지갑 파는 곳으로 가서 열두개의 지갑을 만져본다. 그 중 네개의 가격표를 꺼내 보고는 하나를 선택해 오른손에 ... ...
하늘
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서양 큰곰자리에는 우리네 별자리인 북두칠성과 삼태성이 숨어있다. 북두칠성은 국자 모양을 하는 탓에 누구에게나 친숙하다. 그런데 북두칠성 국 ... 삼태성을 찾아보자. 아울러 그에 얽힌 옛날얘기도 떠올려보자. 아는 만큼 보인다고, 밤
하늘
을 보면서 할 얘기가 조금은 더 늘었을 것이다 ... ...
분단 이후 북한의 과학문화유산 연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비행체 비차 일반에 공개’라는 제목으로 임진왜란 시절 만들어졌다고 생각돼 온 ‘
하늘
을 나는 차’(비차 혹은 비거)의 복원 소식을 알렸다.공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전시된 이 비차는 건국대학교 복원팀의 노력으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는데, 19세기 후반 실학자 이규경의 ‘비차변증설’이란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새로운 행성을 찾으려고 국제협력을 주도했던 인물이었다. 즉 여러나라의 학자들에게
하늘
의 일정부분을 할당해 서로 협력 하에 새 행성을 찾아 나서고자 했다. 물론 이탈리아의 피아치에게도 할당부분을 알리려 했는데, 바로 그 시기에 피아치의 발견이 이뤄졌던 것이다.결국 폰 자크는 12월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곳에 좀자작나무의 잎이 바람에 뒹군다. 약간은 추운 느낌으로
하늘
을 올려다보니
하늘
은 어느새 높고 푸른 가을로 와 있다.복자기와 당단풍의 빨간 잎은 너무도 아름다워 오히려 눈물나게 한다. 나무껍질이 뽀얀 만주자작은 잎을 다 떨구고 전봇대 마냥 줄지어 서있다. 길을 오가는 소달구지와 ... ...
물구나무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바로 정신적인 암시효과.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처럼 선하고 정성스런 마음은
하늘
도 움직일 수도 있다고 하니….작가소개저자는 스스로를 이렇게 소개한다. 감동보다는 지식을 위해서 책을 읽고, 지식인의 양심을 지녔지만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있는 회의주의자로. 하지만 이런 소개에도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이때 망원경으로 금성을 본다면 거의 반달모양이다. 밝기는 -4.5등급.금성은 한밤중 밤
하늘
에서는 볼 수 없다. 왜 해질 녘이나 해뜰 무렵에만 보이는 것일까. 이것은 금성이 지구 안쪽 궤도를 공전하기 때문인데, 이런 상황을 가만히 그려보면 지구에서 보는 금성이 해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나타나는 남두육성을 비롯한 여러 별자리가 그려져 있다. 고구려인이 독자적으로 밤
하늘
을 보고 별자리를 관측했음을 알 수 있다.이번에 확인된 청동기시대 돌판의 별그림은 이런 고구려의 천문지식에 대한 뿌리를 제공한다.또한 우리나라의 천문지식이 중국천문학의 전래에 의해서만 시작된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11배나 더 크다. 목성은 크기도 거대하지만 표면에서 햇빛을 잘 반사하기 때문에 밤
하늘
에서 매우 밝게 보인다. 그래서 학교의 과학실에서나 아마추어 관측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구경 10-15cm 정도의 작은 망원경으로도 표면의 모양을 흥미롭게 관찰할 수 있다. 무엇을 볼까.쌍안경이나 작은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