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기
총포
권총
망상조직
화기
망
총선거
d라이브러리
"
총
"(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방향이다.열역학적인 시간의 방향은 열역학 제2법칙을 말한다. 열역학 제2법칙이란
총
엔트로피, 무질서도가 증가한다는 법칙이다. 잉크방울이 물에서 퍼지는 현상이 대표적인 예다. 잉크방울이 퍼지면서 원래 위치가 점차 불확실해져가는 것을 우리는 엔트로피가 증가한다고 말한다. 이 과정은 ... ...
3 더위가 사람 잡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자연재해의 절반 정도가 1990년대 이후 발생했다. 지난해의 루사나 올해의 매미와 같이
총
강수량이나 최대풍속과 같은 기록을 갱신하는 현상이 해마다 계속되는 것을 봐도 재해의 위력이 점점 강해지고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재해의 평균 지속기간 역시 늘어났다. 1990년대 ... ...
인간 앞에 서면 작아지는 뿔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1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이곳에서는 지난 1975년부터 1996년까지 57마리의 양들이 사냥꾼의
총
에 희생돼왔다. 이 숫자는 전체 큰뿔양의 10% 수준이다.연구자들은 이 기간동안 숫양의 뿔 크기가 25%가량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사냥 가능한 양의 수가 정해진 상태에서 사냥꾼들이 돈을 많이 받을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민간이 설치하고 운영하는 갈릴레오 인공위성 시스템을 만들기로 했다. 갈릴레오는
총
30대의 인공위성으로 이뤄지는데 2008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03. ... ...
인간 닮은 로봇
총
출동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최신작에 이르기까지 영화에 등장하는 낯익은 로봇들과 만날 수 있다. 은하제국군이
총
을 쏘며 전진하면서 제다이 기사들과 싸우는 ‘스타워즈 에피소드 1’의 사막 전투장면은 테마관의 하이라이트. 주최측은 “상반기 중 전시작품을 추가로 확보해 로봇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소개할 ... ...
1. 우리기술로 속도 장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연구비가 투입됐다.결국 2002년 4월 한국형 고속전철의 시제차량이 모습을 드러냈다.
총
7량으로 구성된 시제차량은 무게 3백30t, 길이 1백45m로, 현재 시운전이 한창 진행중인 상황이다.고속전철기술개발사업은 단순히 KTX를 통해 외국에서 이전되는 기술을 답습하지 않고 한단계 발전시킨 기술을 ... ...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있다는 증거를 찾아냈으며, 이오에서는 거대한 화산의 폭발 장면을 포착하기도 했다.
총
46억km에 달하는 거리를 탐험하며 30GB(디스켓 2만장 분량)의 정보와 1만4천장의 사진을 지구로 보내왔다.혜성 충돌 우주 쇼 직접 목격갈릴레오는 1989년 10월 18일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에 실려 지구 궤도에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육상 종목 중에서 1백m 경기와 넓이뛰기를 비교해봅시다. 1백m 경기에 참가한 선수들이
총
소리를 듣고 출발해서 결승선에 들어올 때까지의 보폭을 한번 그려봅시다. 출발 시점에서의 보폭과 최고 스피드에 도달했을 때의 보폭에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보폭의 크기는 비슷비슷할 겁니다. ... ...
1 한국 노벨상 5-15년내 나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논문의 인용지수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데, 지난 25년간의 일정 수 이상의 인용지수(
총
인용지수)를 가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13명, 화학상 수상자는 33명이었다. 이들의 평균 인용지수는 물리학상 수상자의 경우 5천5백8회, 화학상의 경우 4천8백71회였다.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이 정도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커진다. 실제 1t 정도의 실험 장비를 싣고 성층권으로 올라가려면 길이가 최소 2백m 이상,
총
중량은 20-30t은 나가야 한다.때문에 비행선 개발에는 저밀도 고공 운용을 고려한 첨단 설계 기술들이 적용된다. 공기주머니(기낭) 속 헬륨 부피를 줄이는 것은 이 가운데 대표적 기술에 속한다. 기압이 낮은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