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호주 생태계, 풍선 인형에게 맡겨달라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거예요.결과는요? 총소리는 별 소용이 없었는데, 공기 인형은 효과가 있었어요! 12마리 중 7마리가 겁에 질려 달아났죠. 연구팀은 공기 인형이 사람과 꽤 비슷하게 생긴 데다 키와 덩치도 크고, 예측 불가능한 방향으로 자꾸 움직이기 때문에 딩고를 겁줘서 쫓아내기에 안성맞춤이라 분석했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균형 잡기의 달인이 되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인형의 양발에 붙은 자석이 무게중심을 아래로 옮기는 역할을 해요. 여기에서 무게중심은 펜 뚜껑과 닿는 꼬리의 끝부분보다도 아래에 위치한답니다. 덕분에 이 인형을 손으로 툭툭 건드려도 쓰러지지 않고 균형을 잡을 수 있죠 ... ...
- [특집] 후비적~, 귀지가 내 스트레스를 알려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오른쪽 귀지는 연구팀이 직접 개발한 장치로 꺼냈지요. 실험 결과 머리카락, 혈청, 귀지 중 귀지에서 채취한 코르티솔의 양이 가장 많았어요. 머리카락의 코르티솔 호르몬 농도는 1ml당 약 9.7pg*이었지만, 왼쪽 귀지는 169.1pg, 오른쪽 귀지는 124.7pg이었어요. 코르티솔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는 데 필요한 ... ...
- [핫이슈] 맛있는 쌀밥 2분 컷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내민 비결은 무엇일까요?첫 번째 비결은 쌀이에요. 맛있는 밥을 짓기 위해선 쌀의 수분이 중요해요. 쌀에 수분이 충분해야 부드러우면서도 찰기 있는 식감을 느낄 수 있거든요. 우리가 흔히 보는 흰쌀은 수확한 뒤 껍질을 벗긴 상태예요. 껍질을 벗긴 뒤 시간이 오래될수록 수분이 날아가 건조한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풀잎으로 피리를 만들기도 하죠. 이 영상에 등장하는 밴드는 제가 지금껏 봤던 악기들 중 가장 멋진 악기를 만들었어요. TV, 선풍기, 바코드 리더기 등으로 전자악기를 만들었죠. 악기들의 모습과 더불어 악기들이 내는 소리가 정말 미래 세계의 음악처럼 느껴진답니다 ... ...
- [특집] 엉뚱한데 멋있어! 어과동 이그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중 어과동 기자들이 ‘엉뚱하고 웃기지만 의미 있는 연구’들을 각각 뽑아 봤어요. 이 중 여러분의 마음을 사로잡은 기사는 무엇인가요?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엉뚱한데 멋있어! 어과동 이그노벨상Part1. [특집] 호주 ... ...
- [특집] 네가 날 좋아하게 만들겠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선택 행동을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됐다”며 “이는 중독이나, 섭식 장애 등 정신질환 환자들의 행동을 제어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광부를 구한 생명의 지저귐, 탄광의 카나리아, 은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출현한 것은 19세기 유럽이었어요. 석탄 광산은 그 당시 찾을 수 있는 최악의 일자리 중 하나였어요. 허리도 못 펼 정도로 좁은 지하에서 어둠과 더위와 싸워가며 석탄을 캐야 했죠. 갱도가 무너지는 사고도 자주 발생했지만, 더욱 위험한 것은 벽에서 스며 나오는 유독 가스였어요. 무색무취의 ... ...
- [통합과학교과서] 탈출하자, 무인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중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은 하짓날엔 영침의 그림자가 가장 짧으므로, 하지 선은 절기선 중 가장 아래쪽에 있어요. 이렇게 앙부일구에는 24절기가 총 13개의 절기선으로 표시되어 있어요. 영침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절기선을 보면 앙부일구를 달력처럼 사용할 수 있지요. # 에필로그꿀록 탐정이 ... ...
- [만화뉴스] 축구공? 주사위? 정답은 분자 그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줄인 거예요. 분자 주령구의 크기는 5.3nm(나노미터, 10-9m)로, 지금까지 보고된 분자 그릇 중 가장 커요. 기존 분자 그릇은 보통 2nm 이하였지요. 연구에 참여한 김기문 IBS 단장은 “약물을 담아 체내 전달하는 운반체나 광촉매 등 분자 주령구를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