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받는 ‘성 스위치’(sex switch)가 사람의 진화과정에서 흔적으로 남아있을지 모른다고
주장
한다. 어떤 동물에서는 SRY 유전자가 없는데도 수컷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유전자 외의 다른 요인이 수컷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맥라클런 박사와 스토리 박사는 그 요인으로 온도를 제시하고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출신의 천재 수학자로 인공지능과 로봇의 발달로 인해 인류의 문명이 붕괴할 것이라고
주장
했다. 그는 자신의 경고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 첨단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과학자들에게 폭탄 소포를 보냈으며 그로 인해 3명이 목숨을 잃고 23명이 부상당했다. 그에게는 종신형이 내려졌으며 현재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그러나 오늘날 화성인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과거 천문학자들이 보았다고
주장
했던 운하는 화성 표면의 단순한 지형 윤곽으로 밝혀졌다.태양의 주위를 돌고 있는 행성은 공전 궤도상의 위치에 따라 지구와 가까워졌다 멀어졌다를 반복한다. 지구와 가까워지는 현상은 주기적으로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하나 메스머는 신경성 환자를 일종의 암시 또는 최면요법으로 치유 할 수 있다고
주장
했다그는 1779년에「동물자기(動物磁氣)」라는 유도체가 최면자의 손에서 환자의 체내로 들어가는 것을 보았고 또 효력이 있다고 발표했다이 치료법으로 파리에서는 많은 환자가 치유되어 평판이 좋았으나 프랑스 ... ...
인공지능학자 커츠와일 '매트릭스 실현가능성 높다' 예측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등장할 초소형 로봇인 나노봇(nanobot)을 이용하면 인간의 뇌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
한다. 나노봇은 사람의 모세혈관에 들어가 활동할 만큼 작은 로봇이다. 물론 아직까지 이 정도는 아니다. 최근 미국방성은 ‘스마트 더스트’라는 자그만 로봇장치를 개발중이다. 현재의 크기는 1mm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뿐”이라며 “유전병의 대부분이 특정 유전자 이상으로 발병하지만, 이들의
주장
대로 질병은 그렇게 간단하게 발생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유전자 테스트에 포함되는 치매가 대표적 예다. 치매는 뇌 속에 섬유질의 노폐물이 쌓이면서 혈액 순환을 막고 결국 뇌 조직까지 그 기능을 잃게 ... ...
두번째 대멸종은 운석 충돌 때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두번째 대멸종 사건이 운석 때문이라는
주장
이 제기됐다. 미국 루이지애나 주립대 브룩스 엘우드 교수는 “3억8천만년 전에 우주에서 운석이 떨어진 증거를 발견했다”고 ‘사이언스’ 6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엘우드 교수는 “아프리카 모로코에서 3억8천만년 전의 암석을 하나 발견했는데 이 암석은 ... ...
연료전지 수소 새면 오존층 파괴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연료전지에서 수소가 새어나가 오존층을 파괴할 수 있다는
주장
이 나왔다.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 육 융 교수는 “연료전지가 화석연료를 대신해 널리 쓰일 경우 대기 중 수소가스가 크게 늘어나면서 오존층을 파괴해 남극과 북극의 오존구멍을 확대시킬 것”이라고 ... ...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때문이다. 하지만 ‘지구물리학 연구저널’(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최근호에는 이런
주장
을 불식시킬 만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미국의 닐 콜먼 박사가 화성의 크리세 평원에 나타난 거대협곡들을 조사한 결과, 길이가 2천km나 넘게 얽혀 있는 이들 거대협곡은 방대한 양의 물이 아니면 만들 수 없는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것이다. 그러려면 대학이나 대학원 차원이 아니라 초등학교부터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고
주장
한다. 이때 기본은 과목이 아니라 학제간 교육 프로그램이 된다.이 보고서는 융합교육의 좋은 예로 미 과학재단이 실시하는 대학원통합교육연구지원(IGERT, Integrative Graduate Education and Research Traineeship)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