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 탄소, 인공지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수학·과학 자들은 당시 새로운 개념이었던 ‘생각하는 능력을 갖 춘 기계’가 어떤 일을 하게 될지에 대해 토론했고, ‘인 공지능’이라고 부르기로 결정했어요.인공지능은 사람의 신경망을 모사해 빅테이터를 스 스로 분석하고, 학습해서 판단하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어요. 지난 2016년에는 ... ...
- [기획] 가짜뉴스 퇴치, 너도 할 수 있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행사가 열리고 있습니다. 지난 3월에는 방송통신위원회가 ‘국제 팩트체킹의 날(4월 2일)’을 맞아 ‘제1회 팩트체크 주간’ 행사를 개최했고, 5월에는 ‘청소년팩트체크 전국대회’가 열렸죠. 팩트체크는 기사의 사실 여부를 따져보는 것을 말합니다. 2019년 처음 개최돼 올해로 3회째를 맞은 체커톤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몇 달 후 두 번째 예측도 실험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또 이 과정에서 어떻게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알 수 있는 구체적인 메커니즘도 찾을 수 있었다. 말하자면 피카소의 황소 그림 중 맨 아래 그림에서 시작했지만 3년간의 연구 끝에 몇 단계 위라 할 수 있는 더 복잡한 그림을 얻은 것이다. 이후 ... ...
- [한페이지 뉴스]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천문단위·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 이상인 미지의 천체가 VVV-WIT-08 근처를 지나가며 일시적으로 별을 가렸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결과 이 시나리오가 성립하기에는 이 조건을 만족하는 천체의 수가 턱없이 적었다. 이에 연구팀은 VVV-WIT-08이 다른 천체와 쌍성계를 이룬다는 새로운 ... ...
- 몸집 키워 돌아온 종이접기의 물리학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지름 15cm, 높이 30cm 정도 크기의 원기둥 모양이 됩니다. 이 때까지만 해도 몰랐죠. 이 일이 그렇게까지 고생으로 이어질 줄은.‘사서 고생’은 바퀴 제작에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만든 바퀴를 들고 6월 10일 서울 관악구에 있는 조 교수의 연구실로 향했습니다. 직접 하중 실험을 해보지 않고는 ... ...
- [SF 소설] 당신의 신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없는지 곧장 감긴다. 아버지, 한 번 더 크게 외쳤다. 이번엔 두 번 깜빡거린다. 무슨 의미일까, 생각하는 순간 그가 다시 눈을 감았다. 아버지, 아버지, 여보, 여보. 우리의 외침에도 다시 눈을 뜨지 못했다. 나는 그가 영영 멀어질 것만 같아서 그의 상체를 흔들었다. 그러나 그에게선 어떤 움직임도 ... ...
- [수학자 가상 인터뷰] 멘토를 만나 빛난 천재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Q 어떻게 수학자가 되셨나요? 제 가장 친한 친구이자 멘토인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 교수님 덕분에 수학자가 됐어요. 하디 교수님은 30살이란 어린 나이에 교수가 ... 후대 수학자가 발견해 제가 연구한 내용을 발전시킨다고 하더군요. 공책을 잃어버린 것이 더 잘된 일인지도 모르겠네요 ... ...
- [특집] 새로운 화폐, CBDC의 등장수학동아 l2021년 07호
- 30곳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모두에게 공개하는 퍼블릭 블록체인보다 속도가 빠르다”며 “일상에서 발생하는 신용카드의 거래 건수가 초당 4000여 개인데 이미 그 이상의 거래 수를 프라이빗 블록체인 방식으로 감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나눠 가진 참여자의 수가 20여 곳 ... ...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하지만 유진 구스트만을 ‘생각하는 컴퓨터’로 인정할 수 있느냐에 관한 논란이 일기도 했죠. 도전! 나도 엔트리 프로그래머! 인공지능이 뭔지 알았으니 ‘엔트리(entry)’를 사용해 직접 인공지능을 만들어볼까요? 엔트리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플랫폼이에요. 파이썬과 ... ...
- [이달의 수학자] 정수론 난제의 해결사, 테렌스 타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난제로 ‘1과로 이뤄진 무한수열의 합은 임의의 정수보다 크다’는 내용의 에르되시 불일치 추측이 불가능함을 증명했습니다. 현재까지 타오는 300편이 넘는 수학 연구 논문을 발표했고, 18권의 수학책을 쓰는 등 활발하게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는 왕성한 연구 비결에 대해 “사람들과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