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하"(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탈 신호란 어떤 것인가과학동아 l1986년 12호
- 신호를 재생시킨다.송신측과 수신측에서 사용된 저역여파기는 최대 음성주파수(4㎑) 이하의 주파수성분만을 통과시키므로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표본화 이론에 의한 표본화 주기는 8㎑ 즉 1초당 8천회 이며 양자화 과정은 주로 1백28레벨로써 7비트가 사용되지만, 최근 새로운 PCM기술은 2백5 ... ...
- 종합정보통신망―ISDN 21세기의 꿈의 전송로과학동아 l1986년 12호
- 사용자 또는 응용처리단위(Application Processes, APs)상호간에 직접교신이 가능하다. 이 이하의 계층은 이 제7계층을 지원하기 위하여, 최하위 계층에서부터 물리적인 연결상태에서 단계적으로 통신기능을 향상시키게끔 되어 있다.CCITT의 규격화 노력은 하위계층에서는 꽤 큰 진전을 보고 ... ...
- PART 1 금강산댐과 그 대응책과학동아 l1986년 12호
- 이전엔 평균 섭씨20도를 넘었는데 댐에서 방류되는 차가운 물때문에 댐 완성후에는 10도 이하가 되었다.거꾸로 가을에서 겨울에 걸처지는 수온이 기온을 웃돌기 때문에 기온이 이전보다 2~4도 상승되었다. 인간에게는 지내기 좋게 되었으나 주변의 생태계는 혼란이 생겼다는 것이다,카스피해와 ... ...
- 포화농도 변하는 원리 응용과학동아 l1986년 12호
- 5g정도의 금속수은을 얻을 수 있다.성능은 세정액의 수은농도가5ppm일 때 배출농도는0.005ppm이하.수은전지 등은 따로 수집해 처리한다지만,실제로는 다른 쓰레기와 함께 소각로에 넣어지는 형편이다. 이때 약20%수은이 인체에 유해한 이온상태로 배출된다는것. 따라서 이 장치로 수은오염의 방지와 ... ...
- 주사형 터널링 전자현미경(STM) 육안으로 원자를 본다과학동아 l1986년 12호
- 갈거나 부식시켜 사용한다. 시료와의 거리는 1천만분의 1㎝침과 표면의 간극을 10A이하로 유지하면서 시료면 상의 침을 0.1A 이상의 정밀도로 안정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STM 동작의 가장 중요한 관건이 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공기중의 소리나 건물 안에서 사람이 걸어다닐 때 발생하는 진동 ... ...
- 퍼스널컴퓨터 교실⑤ 조건 LOOP문과 서브루틴과학동아 l1986년 12호
- 제어변수는 G).RND는 0과 1사이의 임의의 수를 만드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INT는 소숫점이하의 수를 잘라버리고 정수로 만드는 기능이 있다. (그림9)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1)주프로그램 : 문번호 100-3002)서브루틴 : 문번호 1010-11403)주프로그램 : 문번호 305-36 ... ...
- PART1 내일의 TV과학동아 l1986년 11호
- 하면 대폭적으로 가격이 하락하는 특징이 있다. 디지탈IC는 아날로그IC보다 제조가 용이하며 비선형 일그러짐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잡음, 온도변화, 경시변화, 전압변동에 대해서도 안정적이다. 또한 기본동작상태가 ON OFF이기 때문에 CMOS와 같은 경우는 소비전력이 매우 적어 고집적화가 가능하게 ... ...
- 물질의 근본을 밝힌다 입자 가속기과학동아 l1986년 11호
- 기종의 가속기에 비하여 가속된 이온빔의 에너지 분산이 매우 작고, 에너지 변동이 용이하며, 각종 이온빔을 모두 얻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이제까지 핵물리 연구용으로 필수적인 장치로 되어왔으며, 원자로 설계나 핵융합로 설계에 요구되는 핵자료들은 대부분 이 형의 가속기로 얻는다 ... ...
- PART ③ 막대한 하수처리수의 방류과학동아 l1986년 10호
- 수질오염을 우려하게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처리수기준인 BOD30ppm 에서 15ppm이하로 낮추는 것이 권고되고 있다(권숙표, 한강종합개발준공기념학술대회1986.9.1). 한편 상류의 북한강계의 홍천 가평, 남한강계에 제천 충주 원주 사북 영월 여주 이천 그리고 경안천계의 용인 광주 등은 상당한 인구와 ...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과학동아 l1986년 10호
- 월 하순에 도래하여 9월 하순에 떠나는 여름새이며 체류기간은 1백50일 내외. 해발 8백m 이하의 낮은 산에서 사는 희귀종이다. 4월 하순 교미하여 5월 중순 둥지를 트는데 키가 작은 관목에 가는 풀로 튼다. 이외에도 큰부리밀화부리와 콩새는 흔한 텃새이다. 이상과 같이 한반도에서는 매우 희귀한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