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하기
여름철
d라이브러리
"
여름
"(으)로 총 3,03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판매시 끼워주거나 같이 파는 형태로 사용자들에게 전달되었다. 이런 현상은 88년
여름
발매한 '한글2000워드'를 시작으로 그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 즉 '한글2000워드'가 하드웨어 메이커의 도움없이 유통 상가를 통해 1년에 3천부를 파는 기록을 세웠고 이듬해에 역시 워드프로세서인 '한글'이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대한 좀더 광범하고 정확한 내용이 밝혀지게 될 것이다.물방개 놀이가 사라진 이유
여름
밤에 등불을 밖에 내놓으면 여러 종류의 날벌레가 날아든다. 예전에는 하루살이류 각다귀류(모기과의 곤충)를 비롯해 심지어는 땅강아지 소금쟁이 물방개 같은 물속에 사는 벌레들도 모여들었다.그러나 ... ...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고온구역을 찾아냈다. 이곳이 과연 꿈속에서도 찾아헤맨 열수배출구일까.지난해
여름
크레인박사는 미국과 소련의 연구진들을 한팀으로 모아 본격적인 바이칼호 탐사에 나섰다. 탐사의 목표는 1차 탐사에서 찾아낸 고온구역이 정말로 마그마의 분출로 인해 생긴 틈인가를 알아내는데 두었다. ... ...
환경원년 돌아보는 공해추방운동연합 최열 공동의장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주요관심사로 떠오른 것은 그 자체로 일대 변화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그 변화는 작년
여름
의 수돗물 파동 등으로 전 국민이 환경오염의 공포에 시달린 뒤에야 비로소 가능해진 것이기도 하다.환경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경각심은 그저 상태의 악화만으로 간단히 얻어진 것이 아니다. '공기가 나빠 ... ...
날씨와 심리변화 관계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것이다.스틸스에 따르면 "겨울보다
여름
에 정신과를 찾는 사람이 적다는 것은 단지
여름
에는 의사들이 휴가를 떠나므로 많은 환자를 진료할수 없다는 사실을 드러낼 뿐"이라는 것이다.스틸스의 연구팀은 날씨와 인간심리 사이의 정확한 관계를 밝혀내기 위해 3년간 40명의 우울증환자를 대상으로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닮은 뇌를 갖고 있는 「마린보이의 친구」는 배가 고파 육지에서 바다로 이사갔다.지난
여름
서울대공원을 찾은 관람객들이 환성과 감탄사를 연발하며 장사진을 이룬 곳이 있다. 수중서커스의 대가인 돌고래들이 멋진 묘기를 보여준 해양수족관이다.관람객들은 30℃가 넘는 무더위도 잊었는지 ... ...
생명체의 분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어쩌면 이런 당연한 분류법이 이젠 재고(再考)되어야 하는 때인지도 모른다. 1990년
여름
, 일리노이 주립대학의 칼 워스씨가 모든 생명체를 그룹(群)과 소그룹(小群)으로 나누는 새로운 방안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이는 모든 생명체에 예외없이 존재하는 "리보솜"이라 불리는 작은 알맹이속의 ... ...
하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원래 하마는 아프리카의 적도지방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땀샘이 잘 발달돼 있다. 올
여름
처럼 기온이 30℃를 웃돌기 시작하면 하루종일 물속에서 지내면서도 땀을 많이 흘리곤 한다.그런데 하마의 땀은 색깔이 적색이어서 마치 피땀을 흘리는 것 같아 보인다. 이 때문에 동물원을 찾은 일부 ... ...
외래해충에 파괴되는 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곤충은 알로 번식하는 난생(卵生)이나 진딧물과 같은 곤충은 알로 번식하기도 하지만
여름
철 번식기에는 새끼를 낳아 태생(胎生)을 하는 괴력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또한 겨울의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철저한 월동채비를 하기도 한다. 가을이 되면 몸 속에 간직한 수분을 최소한으로 줄여 추위로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베를린 여행자들의 한가로운 산책로로 변한다. 인도를 거의 메우고 있는 노변가페가
여름
거리를 온통 축제분위기로 이끈다.이 도시에는 수많은 도서관이 있다. 그중에서 특히 유명한 것은 국립도서관이다. 3백30만권의 도서를 보유하고 있는 이 도서관은 유럽에서 가장 큰 도서관중 하나로 꼽힌다.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