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기
야그
야기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얘기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때문이다.그러나 이 질문은 "사람은 병에 걸리면 죽는가?" 하는 질문처럼 너무나 막연한
얘기
다. 환자 상태를 판단할 때 쉽게 나을 수 있는 병인지, 아니면 현대 의학으로 도저히 치료할 수 없는 병인지, 그리고 환자의 원래 건강상태는 어땠는지 등을 알아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먼저 어느 정도의 ... ...
인간 버금가는 낙농의 대가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개미를 들 수 있다. 서로 종은 달라도 같이 살며 서로에게 이익을 제공하는 공생관계를
얘기
할 때 흔히 언급되는 ‘개미와 진딧물’이 좋은 예다. 개미는 진딧물을 무당벌레 등의 천적 곤충들로부터 보호해 주고, 대신 진딧물은 식물로부터 빨아들인 영양분의 일부를 개미에게 제공한다.진딧물과 ... ...
21세기 연금술, 인공원소 합성 112번까지 성공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다른 원자를 융합하는데도 에너지가 필요하다.먼저 한 개의 금속원자를 만드는 방법을
얘기
해 보자. 금속원자는 금속덩어리에서 그냥 집어내는 것이 아니라 금속덩어리를 5천℃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해 금속기체를 만들어 얻는다. 이렇게 얻은 원자는 고주파 가속장치에서 속도를 얻고, 원소 융합에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무려 44t. 몸무게의 4-5배나 되는 흙덩이를 적어도 10억번 이상 굴 밖으로 끌어냈다는
얘기
다. 이를 인간사에 비유하면 마치 만리장성을 쌓는 격이다.잎꾼개미 사회는 고도로 조직화한 계급사회다. 몸 길이가 2-3mm에 불과한 농장의 정원사개미로부터 그들보다 무려 3백배 가량 무겁고 머리 폭도 6mm나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그 이유를 설명했다. 수요가 적기 때문에 국가와 기업에서 기술개발에 신경을 덜 쓴다는
얘기
다. 현재 한국기계연구원은 1만m급 무인탐사로봇(ROV)과 2백m급 자율형 무인탐사로봇(AUV)를 개발하고 있다. 같은 연구센터에 근무하는 이판묵 선임연구원은 "ROV는 이용 분야가 넓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이 ... ...
전륜과 후륜의 차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소모가 늘어나는 비싼 장비를 사용하지 않은 채 무겁게 싣고 다니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얘기
다.후륜구동방식이나 4륜구동방식 역시 전륜구동방식처럼 언더스티어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노면의 마찰계수가 낮아지는 비나 눈이 오는 날 특히 이런 현상이 심해진다. 또한 같은 차라 해도 혼자서 타고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마치고 토론을 벌였다. 이틀간 관찰한 철새 종류와 특성을 확인하고 다음 일정에 대한
얘기
를 나눴다. 토론이 끝날 즈음 앞으로의 구체적인 관찰목표가 정해졌다. 세계적인 희귀조인 가창오리와 원앙, 그리고 황새였다. 셋째날_하늘 뒤덮은 가창오리아침 일찍 서둘러 논산저수지로 출발했다.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사막 정글이 차례로 펼쳐질 것이다. 4. 별자리 놀이서울 하늘에서 별을 본다는 것은 옛날
얘기
처럼 아득한 일이다. 직접 바라볼 수는 없지만 별잇기 놀이를 통해 12가지 별자리를 알아본다. 화면 4-1. 밤하늘에 망원경이 떠 있다. 화면 4-2. 마우스로 움직여 초점을 맞춰보면 별자리가 도드라져 보인다 ... ...
한글3.0b VS MS워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않고 무난하게 잘쓰고 있다.그러나 워드가 모든 사용자들에게 잘맞고 쓰기 편할것이라는
얘기
는 절대로 아니다. 사람은 항상 제멋에 산다고, 잘 아는 선배 한 분은 아직도 아주 오래 전에 나온 아래아한글 1.52를 지금까지 줄기차게 애용하고 있다. 궁금함을 참고 참다가 한번은 그 이유를 ... ...
제5회 신나는 과학놀이마당 솜사탕도 만들고 DNA도 배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때문에 잘 이해되지 않는다. 갈수록 과학과목이 싫어진다." 중·고등학생들은 곧잘 이런
얘기
를 한다. 그래서 과학교사들은 어떻게 하면 과학을 재미있고 신나는 과목으로 만들까 늘 고민한다.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줄여 '신과사')은 이러한 고민을 함께 나누고 보다 나은 과학교육을 하려고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