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버트 센트-죠르지 생명현상의 가장 광범한 연구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성장을 부추기거나 늦추는 물질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 물질을
분리
하여 순수한 조건에서 재생시켜 그 정체를 밝히고자 했으나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그 성분은 특히 황과 수소와 반응을 일으킨다고 알려진 '메틸 글리옥실'의 유도체와 함께 케톤 알데히드와 같다는 ... ...
천문학의 최전선 전파천문학이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있고 안테나의 움직임에 따라서 전방향가동형(稼動型), 일방향가동형, 고정형 등으로
분리
된다. 최근 전파천문학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서 세계 각국이 대형의 안테나와 영하 2백50℃까지 냉각시킨 초정밀 수신장치를 설치해 놓고 있다. 그 중에서 큰 것을 몇개 들어보면 미국 '푸에르토 리코' ... ...
인류기원의 혁명적 반론 이브는 흑인이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일어났느냐가 중요한 문제이다. 최근의 추정에 의하면 4백만 년에서 8백만 년 사이에
분리
가 일어났던 것으로 생각된다. 고고학자들에 의해 파헤쳐진 흙 속에는 뼈나 돌 이외에 화석이 되어 버린 무수한 식물의 씨앗이 지층을 따라 연속해 있어서 식물계의 분포와 기후를 추정할 수 있게 해 준다. ... ...
쌍동이의 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차이가 없으나 이란성쌍동이의 어머니가 다시 쌍동이를 낳은 가능성은 4배나 된다.
분리
해도 소용없어일란성쌍동이는 한명이 머리에 손상을 입으면 다른 한명도 두통이나 현기증을 느낄 경우가 있다. 1979년 미네소타대학의 '토마스 보차드'는 일란성쌍동이의 닮음에 대해 연구하고 많은 실례를 ... ...
PART10 고성능 폴리머 분자설계의 위력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통과시키나 물과 수용액은 통과시키지 않는 것, 해수를 담수화하는 것, 공기에서 산소만
분리
해내는 것 등 다채롭다. 생물학에서 배운다고분자연구자들은 요즈음 거대분자를 조작하기 위한 보다 앞선 새로운 수법을 찾아내기 위해 생물학에 눈을 돌리고 있다. 예컨대 힘줄의 구조는 하나의 교훈을 ... ...
최신예 전투기 EAP와 RAFALE 콘테스트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찾아왔다. 무장체제면에서도 라팔은 EAP보다 한발 앞서 있다. 공기흡입구가 양쪽으로
분리
되어서 날개와 동체접합부위에 붙어 있기 때문에 동체밖에 상당량의 폭탄을 적재할 수가 있다. 핵탄두들 장착한 미사일도 직경 80㎝에 길이가 6.5m짜리 정도까지 장비할수가 있다. EAP기로는 도저히 엄두도 못낼 ... ...
신소재의 과학 꿈의 재료를 설계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냉각속도가 빨라질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냉각속도가 초당 1백만℃~1억℃에 이르게 되면
분리
상(分離相)의 형성은 완전히 억제되고 그 대신 단일상(單一相)으로 된 미세한 결정과 아모퍼스 즉 비정질 구조가 형성된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재료의 강도 경도 내마모성 내부식성 등 뿐 아니라 자기(磁氣 ... ...
BASIC강좌⑥ 응용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변화가 없다. 여기서 NEXT와 NEXT 사이에 " : "을 사용하였는데 " : "의 원래 기능인 문장
분리
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TAB함수에의한 출력 형태 지정TAB함수는 정해진 위치부터 데이타를 출력시키는 함수로 (그림15)에서 알수 있듯이 데이타의 출력 장소를 괄호속에 숫자로 나타내 주면 원하는 곳에 ... ...
종합 올해에 확실시 되는 뚜렷한 변화는 어떤것일까.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있다고 알려진 인터루이킨2는 한국과학기술원과 녹십자에서 클로닝에 성공했다. 다만
분리
정제기술이 문제. 내년에 제품을 만든다는 목표를 세워 두고 있다. 제일제당에서는 유전공학을 이용한 α-인터페론을 생산, 동물실험을 끝냈으며 럭키금성은 γ-인터페론을 개발했다. 녹십자와 제일제당은 ... ...
수면이론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수면은 세균의 세포벽에 있는 물질(SPU)때문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지금도 그 연구에 정진중이다.수면을 연구하고 있는 다른 많은 학자들도 수면촉진물질을
분리
하여 그것을 정제하기 위해 열심인데 그 전망은 아직 미지수다.그러는 동안에 무라밀펩티드라는 수면촉진물질이 발견된것은 상황을 진일보시켜 이 방면에 희망을 갖게 하고 있다.특히 수면과 면역의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