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뉴스
"
대형
"(으)로 총 3,341건 검색되었습니다.
집값 너무 비싸다, ‘물에 뜨는 집’ 개발
2016.07.25
그리고 아부다비에 설치될 ‘떠다니는 집’의 모습이다. 이 수상 주택은 얼핏 보면
대형
컨테이너 같이 생겼다. 물 위를 떠다니는 컨테이너다. 하지만 내부는 컨테이너가 아니다. 고급 아파트의 실내를 그대로 옮겨놓은 ‘떠다니는 집’이다. 태양광으로 전기를 얻으며, 강렬한 태양과 염분을 견딜 ... ...
지중해를 떠다니는 아름다운 범선
2016.07.24
겨울에는 캐리비안 해에서 여행객들을 태우고 떠다닌다. 길이 135m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형
크루즈 선박이 입항할 수 없는 항구들도 방문할 수 있다. 2개의 디젤 엔진이 장착되어 있으며, 수용 가능 승객은 최대 227명에 승무원은 106명이다. 고풍스럽고 아름다운 겉모습과는 달리 내부에는 현대식 ... ...
해수욕장에 나타난
대형
악어, 해변 어슬렁
2016.07.23
팝뉴스 제공 편안한 휴식을 취해야 마땅한 해변을 차지한 것은 악어였다. 관광객이 아닌
대형
악어였다. 이 악어는 비치체어 주위를 어슬렁거렸다. 악어를 본 이들은 비명을 질렀다. 사진을 통해 악어를 본 이들도 깜짝 놀랐다. 많은 이들을 놀라게 만든 이 악어는 멕시코의 휴양지인 코즈멜에서 ... ...
423kg 초
대형
청새치 잡혀
2016.07.22
팝뉴스 제공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큰 주목을 받은 이미지다. SNS에서 급속히 전파된 이미지 속의 물고기는 대서양 청새치. 이 거대한 물고기는 미국의 한 낚시 대회에서 잡혔고 18일 해당 낚시 대회의 페이스북에 모습이 공개되면서 주목을 받았다. 무게는 423kg에 달한다. 사람들보다 훨씬 큰 것을 ... ...
'토니 스타크 실사판' 테슬라 CEO의 4대 세계 정복 계획
동아사이언스
l
2016.07.21
기사의 역할은 운전보다는 여러 차량의 운행을 조정하는 것으로 바뀝니다. 지금처럼
대형
버스를 운행하는 것보다는 작은 버스를 많이 운영하되 좌석 배치를 효율화해 더 많은 승객을 태울 수 있게 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버스가 꼭 정해진 노선에 얽매일 필요도 없어집니다. 승객을 정류장이 ... ...
‘땅 위의 인공태양’으로 우리가 거둔 수입은?
2016.07.19
제작하기로 결정됐다. 배태민 미래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우리 산업체들이 국제
대형
프로젝트에서 지속적으로 계약을 수주하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 과학기술 역량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에 건설되고 있는 ITER는 애초 목표 ... ...
[궁금한 이슈 why] 이름도 들어본 적 없는 ARM이란 회사가 35조원이라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6.07.19
올해 1분기에만 41억 개의 ARM 기반 칩이 출하됐습니다. 지난해 매출은 14억 8860만 달러로
대형
반도체 기업에 비교할 수 없지만, 업계 위상과 영향력은 누구 못지 않습니다. 2010~2015 ARM 매출 추이 (단위 백만 달러) - ARM 제공 ARM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전력을 덜 잡아먹는다는 점입니다. 전력을 덜 쓰니 ... ...
수중 드론 길 찾아 주는 ‘수중 GPS’의 세계
2016.07.15
포사이돈은 미 해군의 ‘블루핀-21’ 등 군용 드론에 활용할 계획이다. 다르파는 향후
대형
잠수정이나 민간용 수중 드론 등에도 포사이돈을 적용하며 활용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미국 국방부 산하 고등방위연구계획국(DARPA·다르파)이 개발 중인 수중 GPS ‘심해위치확인시스템(POSYDON·포사이돈 ... ...
[사드 전자파 논란] 국내도입 유사 기종 대부분 ‘안전’
2016.07.14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다. 전파로 음식을 조리하는 전자레인지를 생각하면 알 수 있다.
대형
레이더 메인노브 바로 앞에 서 있을 경우 체액이 끓어올라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다. 그러나 사드에서 흘러나온 전자파가 인체에 영향을 미치기는 힘든 여건이다. 거리가 멀어지면 강도가 급격히 ... ...
“피인용 지수(IF)로 연구자 평가, 불공정”
2016.07.11
팩터로 논문의 질을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더불어 19개 학술지를 발행하는
대형
학회인 미국 미생물학회는 11일 임팩트 팩터 사용을 철회하겠다고 발표했다. 학회 측은 향후 학술지와 웹사이트에서 임팩트 팩터를 삭제할 계획이다. 이런 분위기는 국내 과학계의 연구 성과 평가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