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빛"(으)로 총 3,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국왕립협회 뉴턴과 위대한 실험들 특별전을 다녀오다. 뉴튼의 이중 프리즘 실험에 대해기사 l20160215
- 저는 뉴튼의 이중 프리즘 실험을 체험하였는데, 빛의 성질에 대해 알게 해 준 위대한 실험이라고 합니다. 그 실험을 직접해 보면서 빛은 아무리 많은 프리즘을 통과해도 더 이상 나눠지지 않는 다는 사실도 알았습니다.뉴턴과 위대한 실험들 특별전을 통해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게되었습니다. 또 앞으로 과학 공부를 더 많이 해보고 싶다는 생 ...
-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101년만에 확인 세계적인 과학자 알베르포스팅 l20160215
- 최대 진폭(진동하는 폭의 절반)은 1광년의 길이에 머리카락 한 올 굵기 정도의 공간변화가 생긴 것이다. 이번 중력파 확인으로 앞으로 빛이나 전파를 통해 관측할수 없었던 블랙홀과 천체의 탄생 등 우주의 비밀을 밝혀내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라이고 실험은 1997년 부터 한국, 미국, 영국등 15개국 과학자 1000여 명이 참여한 공 ...
- 어제 전쟁기념관에서하는 모네전 [모네 빛을 그리다]에 갔다왔어요!!포스팅 l20160130
- 어제 전쟁기념관에서하는 모네전 [모네 빛을 그리다]에 갔다왔어요!! ...
- 어제 전쟁기념관에서하는 모네전 [모네 빛을 그리다]에 갔다왔어요!!포스팅 l20160130
- 어제 전쟁기념관에서하는 모네전 [모네 빛을 그리다]에 갔다왔어요!! ...
- 열혈 탐사팀 무지개빛 식물사랑어린이과학동아 l20160129
- 2015년, 쟁쟁한 지사탐 우수탐사대원들 명단에 당당히 이름을 올린 팀이 있어요. 바로 지난 해 처음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시작한 ‘무지개빛 식물사랑’ 팀이에요. 어떻게 탐사 첫해에 우수탐사대원으로 뽑힐 수 있었을까요?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3호(2016년02월0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알쏭달쏭 개미를 파헤쳐 보자! 개미의 종류는? 특징은?기사 l20160127
- 세 번쨰, 불개미의 몸길이는 일개미 5~8mm, 암컷 9~11mm이다. 일개미의 몸빛깔은 암적황색이고 배는 갈색이다. 전체에 황색의 연한 털이 밀생하였고 배에는 더 촘촘하다. 머리는 길이가 나비보다 길고 양 옆은 모가 진다. 암컷의 머리와 가슴은 적황색이고 정수리와 ...
-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괭이밥과의 한 속인 사랑초는 옥살리스(Oxalis Corniculat탐사기록 l20160122
- 피어납니다. 그리고 잎을 펼쳐보면 하트모양이 보인답니다. 또한 잎은 투톤컬러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표면을 관찰해보았어요. 햇빛에 유난히 민감한 이 사랑초의 잎을 낙사조명으로 살펴 보았더니 예상하지 못했던 광경이 펼쳐졌어요. 초등학생이 쓰기엔 좀 어색한 말이지만, 이런 맛에 현미경 관찰을 계속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아래 사진들은 모두 NIKO ...
- 태양계-목성 목성에 대하여기사 l20160122
- 무게는 지구를 318개 합해 놓은 것과 같으며 목성을 지구로 꽉 채우려면 지구가 1321개 필요하다. 목성이 더 커지면 몸 속에서 스스로 빛을 만드는 별이 될 수 있었다. 그렇게 되면 태양이 2개가 되는 셈이다. 목성의 가장 큰 자랑거리는 바로 대적반이다. 대적반은 아주 거센 태풍이 부는 곳이다. 크기가 지구를 3개 합해 놓은 것만큼 ...
- 광선검을 만들 수 있다고? 광선검 만들기기사 l20160116
- 직진하기 때문에 검을 만들기 힘듭니다. 그리고 만든다고 해도 사람이 휘두를 수 없는 크기가 됩니다. 칼 끝에 거울이 달아 빛을 반사 시킨다고 해도 거울을 달기 위한 장치 때문에 검으로 쓸 수 없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뭐가 있을까요? 플라스마는 어떨까요? 플라스마는 굉장히 생소한 물질입니다. 저도 기사를 쓰다가 저도 처음 알게 됐답니다. 플라스마 ...
- 다중 우주론(多重宇宙論)은, 우주가 여러 가지 일어나는 일들과 조건에 의해 통상적으로 갈래탐사기록 l20160110
- 존재한다는 다중 우주라는 아이디어이다. 일반 상대성 이론과 다중 우주 편집 일반 상대성 이론에 몇 가지 가정을 추가하면 휘어지는 빛과 대폭발을 포함한 우주의 일반적인 특성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값들은 관측결과와 매우 정확하게 일치한다. 뿐만 아니라 우주 상수를 고려한 ΛCDM 모형은 현재까지 관측된 거의 모든 우주론적 데이터를 설명할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