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일곱 가지 색을 띠는 팔색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발표한 자료에 이런 습성이 적혀 있지만, 실제로 뱀을 사냥한 모습을 촬영한 건 이번이 처음이지요.그런데 최근 산림이 파괴되면서 팔색조의 수가 점점 줄고 있어요. 현재는 전세계적으로 약 5000마리밖에 남지 않았지요. 팔색조는 작은 소리에도 예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사람이 찾아오지 않는 곳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기자단 친구들은 이강운 박사님의 안내에 따라 연구소 구석구석을 살펴봤어요.처음으로 만난 건 애벌레예요. 케이지에 알과 애벌레, 나비로 자라기 전 상태인 번데기, 번데기가 실로 싸여 있는 고치까지…. 곤충의 다양한 생활사를 한번에 볼 수 있었지요.나비 표본을 들고 있는 이준이 학생 ... ...
- Part 2. [새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교수의 이름을 따서 지었지요. NASA의 탐사선에 살아 있는 과학자의 이름을 붙인 것은 처음이랍니다.유진 파커는 태양 연구에 독보적인 기여를 한 과학자예요. 그는 코로나의 온도가 100만℃ 이상으로 특별히 높은 이유를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1950년대 당시에는 아무도 예상하지 ...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푸푸와 갈라파고스 섬으로 여행을 갔다가 처음 보는 새를 발견했어. 다른 새와 달리 이 새는 몸집보다 훨씬 작은 날개를 갖고 있어. 또, 특이하게도 태양을 향해 날개를 양옆으로 펼치고 있더라고. 이 작은 날개로 하늘을 날 수는 없을 것 같은데…. ...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뒤, 속도와 궤도를 조절하면서 태양에 점점 가까이 다가갈 거예요. 2018년 11월 1일에 처음으로 태양을 만나고, 태양에 가까워지다가 2024년 12월 19일에 태양과 가장 가까워질 예정이지요.우선 탐사선은 태양의 중력에 영향을 받아 시속 72만 4200km의 빠른 속도로 태양을 향해 날아가요. 이 속도로 ... ...
- Part 4. [미션 2] 태양풍을 관측해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주로 음전하(-)를 띠는 ‘전자’와 양전하(+)를 띠는 ‘양성자’예요. 이 입자들은 처음에는 매우 느린 속도로 움직이다가, 점점 속도가 붙어서 지구에 도달할 때쯤에는 초속400~500km의 매우 빠른 속도를 내요.태양풍은 항상 지구로 날아오지만, 다행히도 지구의 자기장이 태양풍을 막아 주기 때문에 ... ...
- [과학뉴스] 유튜브로 공부한 AI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구돼 왔지만, 유튜브 영상을 이용해 일상 언어와 일상 행동 간의 관계를 학습한 것은 처음”이라며 “이 기술은 향후 인공지능 기반의 가상 캐릭터나 로봇에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진으로 인한 건축물 손상 등 피해가 미미했다. 이번 지진으로 액상화 현상이 국내에서 처음 관측돼 우려를 낳고 있다. 액상화 현상은 지진으로 지반이 변형 되면서 유출된 지하수가 지반 곳곳에 스며들어가 땅이 물렁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땅이 물렁해지면 지반이 쉽게 가라앉을 수 있다. 선창국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능이 탑재됐다. 스마트폰에 딥러닝 기반 3D 얼굴 인식 기능이 탑재된 건 아이폰X이 처음이다. 아이폰X 상단에는 세 가지 센서로 이뤄진 ‘트루 뎁스 카메라’가 장착됐다. 먼저 ‘도트 프로젝터’가 사용자의 얼굴에 보이지 않는 점을 3만 개 이상 찍어 가상의 지도를 만들고, ‘투광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다르게 이 장치는 우리 집 앞마당에 떡하니 자리 잡고 주기적으로 사진을 찍어. 2012년에 처음 봤는데 그때는 장치가 무척 작았어. 카메라 한 대가 둥지 7개 정도밖에 못 찍는 거래. 게다가 한 시간마다 찍는 거라더니 기온이 너무 낮아서 기기가 고장을 일으켰다나? 그래서 불규칙적으로 촬영하는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