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일단 다 빈치가 황금직사각형을 이용했다는 기록은 없습니다. 우리가 알 수 있는 방법은
직접
길이를 재서 따져보는 수밖에 없지요. 일단 모나리자 전체의 세로·가로 비율은 76.67÷53.14≒1.44로 황금비율과 거리가 멉니다. 이제 그림의 다른 곳에서 황금비를 찾아야 합니다.그런데 대체 어디에 ... ...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시스템을 최초로 만들었다. 인터링구아가 활약한다면 번역은 훨씬 쉬워질 것이다.
직접
학습하지 않은 언어쌍도 학습한 언어쌍만큼 정확도가 높아진다면, 적은 데이터로도 좋은 번역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지금은 8개 언어를 서로 번역하려면 아래 그림처럼 28개 번역쌍을 컴퓨터가 배워야 ... ...
Part 1. 지구 속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X-파일Part 1. 지구 속 탐사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Part 3. 자기장과 진동Part 4. 맨틀 속 신세계!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 ...
[DJ CHO의 롤링수톤] 우주로 떠난 머큐리의 여정 '퀸의 39'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천체물리학자 메이는 상대성이론에 관심이 많았나 봅니다. 메이가 작곡하고 작사했으며
직접
노래까지 부른 곡 ‘39’는 상대성이론을 소재로 만든 노래거든요. 상대성이론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제시한 이론으로, 시간과 공간에 대한 물리 이론입니다.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서로 다른 속도로 ... ...
[QUIZ KING & KAIST] 겨울방학 수학 교류전 개최!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서술해 보세요. 잘 풀어준 학생을 매달 1명씩 선정해 수학문제연구회 학생들이
직접
첨삭해줄 예정이랍니다. 선물도 준비돼 있습니다. 수리 논술 답안과 첨삭 내용은 2월 1일 수학동아 블로그에 발표됩니다 ... ...
[과학뉴스] 근시를 막으려면 햇볕을 쬐어라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참가자들이 쬐었을 자외선(UVB)의 평균치를 계산했다. UVB는 햇볕을 쬐는 야외활동 시간과
직접
적인 관련이 있다. 그 결과 청소년기(14~19세)와 젊은 성인이었을 때(20~29세) UVB에 많이 노출될수록 근시가 나타날 위험이 줄었다.연구팀은 “햇볕을 쬐면 근시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결과가 계속해서 나오고 ...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지어 식물을 재배하는 ‘그린 브롱스 머신’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학생들이
직접
식물을 재배하면서 학교와 좀 더 가까워졌을 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에 식량을 제공할 수 있었다. 더 살기 좋은 커뮤니티를 만드는 데 기여한 것은 물론이다.스테판은 약 10년 전 우연히 지인에게 받은 씨앗으로 이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OI: 10.1016/j.clineuro.2013.10.002).마음챙김 명상이 스트레스를
직접
적으로 조절하는 기작도 확인됐다. 명상을 하는 중에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HPA축) 활동이 증가하면서 부교감 신경계가 활성화 돼,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알려진 코르티솔 분비가 억제되는 것으로 ... ...
Part 6. 특이점 없애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이미 발전해 있다는 점이다. 잘 엮고 다듬는 일이 남았다. 이론의 특성상 실험으로
직접
검증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이 예측하는 여러 현상이 실제 관측과 맞아 떨어진다면, 그것이 곧 간접 증거로 채택될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빅뱅이론의 잃어버린 조각들Intro.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약 4mW/m2였다. 비행기구름 때문에 생긴 권운은 복사강제력이 약 38mW/m2나 됐다.
직접
적으로 하늘에 내뿜는 배기가스보다도 훨씬 강력한 온실효과를 낸다는 뜻이다. 와일드 박사는 “비행기구름이 주변 대기에 있는 수증기를 최대한 끌어 모아 권운을 만드는 것도 문제”라면서 “지구를 식히는 역할을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