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노동
과업
근무
취직
근로
취업
d라이브러리
"
작업
"(으)로 총 3,87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생체합성의 사슬 아미노산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합성과정에서 두번째로 중요한 기능을 하는 RNA로는 리보솜이 있다. 폴리펩티드를 만드는
작업
이 이곳에서 일어난다(그림6). 유전자가 가진 정보는 전사 과정을 통해 정보 RNA(mRNA)를 만들어 전달하고 이 정보 RNA에 있는 뉴클레오티드 세 개의 베이스가 한 개의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암호로 작용하게 ... ...
물리 - 중력이용, 지구중심관통열차 운행한다면…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마침내 지구의 반대편으로 뚫고 나올 것이다. 서울에서 그런
작업
을 했다면 서울의 반대쪽인 남아메리카의 아르헨티나가 나온다.이 바닥이 없는 우물에 돌을 떨어 뜨리면 그 돌은 어떤 운동을 할 것인가? 바닥이 없으니까 아래로 쭉 빠져 버릴까? 그렇지 않다. 지구의 중력에 ... ...
PART 2. 무진장의 자원이용, 공업화 5단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수 있지만, 4단계부터는 적자체제를 벗어나 흑자체제로 전환이 요구된다. 그 첫번째
작업
으로 1단계에서 수집한 정보를 근간으로 광물자원이 집중돼 있는 지역에 자원공급기지를 만든다. 이들은 모두 무인기지로 우주정거장으로부터 관리 운영된다. 기지에서 채굴된 자원은 모두 ... ...
쓰레기 재생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중금속은 금속염으로 바뀌어 침전을 통해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반응기에서는 반복
작업
을 통해 중간저장소에 반응폐유를 이송하고 중간저장소에서는 반응폐유를 혼합기에 연속 주입한다. 이후 혼합기-증류기-분류기-열교환기-혼합기 순서로 순환시키면서 수분은 증류 제거시키고 중금속 및 ... ...
목성·혜성 대충돌 '황홀한 우주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기대를 가졌었다. 이번 충돌에서 파악된 여러 사실들을 통해 향후 구체적인 연구
작업
이 진행되면 목성과 혜성을 비롯한 우주의 신비가 조금은 더 벗겨질 전망이다.한편 전세계 천문학자들은 세계 각지에서 이 대장관을 관측하기 위해 촉각을 곤두세웠는데, 각지에서 전송된 사진들은 그때그때 외신 ... ...
컴퓨터 첨단 영상기법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컴퓨터 안 3차원의 공간에 인물들을 넣어서 움직임을 미리 보고 그 견본에 따라 다시 수
작업
을 거쳐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것이다.어느 순간, 만화 속의 현실감이 강조돼 있다는 느낌이 드는 것은 바로 이러한 과정이 삽입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는 인물의 움직임을 직접 찍어 다시 그림으로 옮기는 ... ...
(2) 오염 피해 수중과 우주로 이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난자의 조작을 통해 만들어진다.우주인간은 우주 속에서 우주선의 작동을 도와주기 위해
작업
용으로 만들어진 인간으로 유전자조작을 통해 우주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바꾼 것이다. 이는 네 다리로 우주선의 바깥을 걸어다닐 수 있도록 신체의 구조가 바뀌었다. 장시간 산소공급 없이도 견디어낼 수 ... ...
PART1 작동은 이렇게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첨단을 자랑하는 현란한 용어들이 활약하는 세상이지만 종이의 효용은 여전하다. 컴퓨터
작업
의 최종결과물도 대개는 최고의 역사를 자랑하는 저장매체인 종이로 귀착되게 마련이다. 프린터란 기계가 컴퓨터 주변기기라 불리면서도 본체와 동등하게 사용자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이유는 바로 ... ...
(4) 지구 떠나 새 행성을 살 곳으로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물건을 잡는 데 편리한 손과 튼튼한 다리를 가지도록 개조해
작업
인간으로 사용한다.이
작업
인간들은 주인의 명령이 텔레파시 수신기를 통해 뇌에 직접 전달되도록 설계돼 있다. 기생인간보다 작은 인간들을 만들어 좁은 공간이나 건물의 외부에서 일하도록 한다.외출할 때는 특수방호복을 입는다. ... ...
2 멀티미디어 기술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접근해 필요한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얻을 수 있는 서비스 등 컴퓨터가 지원하는 공동
작업
환경을 통해 같은 장소에 있지 않더라도 여러 사람이 대화식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다. 그리고 이 기술의 바탕에는 디지털 신호처리라는 주제가 핏줄처럼 흐르고 있다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