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변기기 활용법-마우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사용할 경우에는 기본적인 클릭으로만 선택하는 경우 2버튼식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
하고, 마우스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연출하고 싶다면 3버튼식이 좋다.충격에 약한 제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광학 마우스와 기계광학 마우스의 경우 센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수로 떨어뜨릴 경우 부품이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공식대로' 문제를 풀도록 강요당하고, 또 그렇게 하는 것이 좋은 성적을 얻는데
유리
하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 쓸데없는 잡념(?)을 아예 막아버리고 있는 것이다.수학교육의 현장에서 가장 안타깝게 생각하는 것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해답을 가르치면 학생들이 곧이곧대로 그것을 외워 담는 태도다.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말한 사람은?① 아람:알코올을 넣을 때 생긴 기포를 없애기 위해② 보람:모세관을 만든
유리
가 강해지게 하려면 열번 쯤은 그렇게 해야 한다.③ 한솔:물의 녹는 점과 끓는 점을 기준으로 한 정확한 온도계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④ 예솔:알코올로 포화시켜야만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기 ... ...
「태양레인지」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조리기가 핵심. 이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태양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많이 쏟아지므로
유리
하다. 보통 1㎡당 1천1백W의 태양복사가 이루어지며, 지역에 따라서는 한낮에 6천3백W/㎡까지 가능하다는 것.일명 '태양레인지'로 불리는 이 박스형 조리기는 마치 온실의 축소판과 같다. 따라서 태양의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1백여년 전에 잠재워지고 말았다. 그도 역시 고기 국물을 가열하는 방법을 택했으나,
유리
플라스크를 밀봉하는 대신 목부분을 길게 늘려 S자 모양으로 구부려서 그 끝을 연채로 두었다. 그러므로 신선한 공기가 플라스크 속까지 들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파스퇴르가 예상한대로 공기중에 떠다니는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걷고 뛰는 데도 네다리 보다는 두 다리로 걷고 두 팔로는 풀을 헤치며 가는 것이
유리
했다고 본다. 위의 일들을 반복하면서 직립하게 되었다고 보는 견해는 매우 그럴듯하나 하나의 가설에 지나지 않는다.그런데 사람이 바로 서서 다니면서 윗몸의 무게가 뒷다리를 누르게 돼 좌골신경통과 허리의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구관조다.도둑을 내쫓기도구관조는 앵무새 중에서도 사람의 말을 흉내 잘내기로 유명한
유리
매커우보다 정확하게 발음한다. 실제로 5~6세 미만의 어린이들 보다는 발음이 더 정확하다. 특히 음악소리를 빨리 익힌다. 그들은 한번 들은 노래를 그대로 재현할 정도로 대단한 기억력을 갖고 있다.동남아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컴퓨터업체들로서는 자사의 모델을 개발하기 보다는 설계도면을 구입하는 것이 보다
유리
하여 우리의 연구개발기반은 더욱 취약해질 수 밖에 없었다.이렇게 PC의 단순조립 생산수준단계에서 우리나라 컴퓨터업체들은 칩세트, 마이크로프로세서, 롬바이오스 등 핵심부품을 모두 미국 일본 대만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훨씬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유리
하다.2000년대에는 복잡한 전기회로를 이용한 반도체의 마이크로칩(microchip)이 뒷전으로 밀리게 돼 있다. 그보다 훨씬 간단하고 정밀한 바이오칩이 등장할 것이기 때문이다. 생물체 자체 또는 정제된 효소를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없는데, 가속기분야에서 이미 협력관계가 굳건한 유럽쪽보다는 미국과 손을 잡는 편이
유리
하다는 것. 미국측도 일본에 SSC계획 입안시부터 직간접적인 추파를 던졌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SSC는 확실히 미국의 계획이며 미국 과학의 우월을 유지하기 위한 국가정책 중의 하나"라며 "기초과학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