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즉, 음료 안에 든 비타민 C가 많으면 많을수록, 더 많은 양의 요오드를 떨어뜨려야 색을 볼수 있어요. 실험 결과 유자 주스, 사과 주스, 녹차 순으로 비타민 C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기자들이 마지막으로 한 실험은 콜라캔을 잔뜩 얹을 수 있는 튼튼한 다리 만들기! 교수님이 준비하신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우봉고로 일차방정식을 요리해볼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승자가 된다. 가. 시각적 사고의 정의시각적 사고는 머릿속에서 하는 생각을 눈으로 볼 수 있게 그림, 그래프, 도표 등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또한 모든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해 효율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즉 생각을 그림으로 시각화해 효율을 올려주는 것이 바로 시각적 사고다.나. 시각적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자신이 가진 데이터 내에 새로운 것을 편입시키는 내삽(interpolation)에만 뛰어나다고도 볼 수 있다. 비슷한 사례가 기계학습을 오랫동안 괴롭힌 과적합(overfitting) 문제다. 과도하게 적합해서 문제라는 뜻으로, 학습된 데이터에 너무 익숙해져서 실제로 풀어야 할 문제는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분야에 ‘재현성 논쟁’이 뜨겁다. 과학 전반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로, 쉽게 볼 수 없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특히 통계 기법의 허점을 악용한 부적격 연구가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2회에 걸쳐 전문가의 칼럼으로 짚어본다. 첫 회는 논쟁의 핵심인 유의확률(p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파장대를 가지고 있다.이것이 야구장에 쓰이면 선수들은 야간에도 공을 좀 더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아르곤을 원료로 하는 플라스마는 녹색파장 대역의 빛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잔디를 더 선명한 녹색으로, 공을 더 뚜렷한 흰색으로 구분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가속기와 이온 추진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하지만 타임머신을 타고 어느 시대, 어느 지역을 가도 현재와 같은 풍경은 절대 볼 수 없을 정도로 상당한 변화가 있는 만큼, 하나의 ‘세’를 시작하는 데는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Tech&Fun] 광물이야기14_이란에서 온 눈송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반응 물질이 풍부한 기체 또는 액체에서 결정이 성장할 경우에 나타난다. 다양한 모양을 볼 수 있는 수집용 광물 중에서도, 이 표본처럼 현미경으로 들여다 본 눈 결정을 떠올리게 하는 그물망 형태는 매우 드물다.약방의 감초에서 퇴출 대상이 된 납문명은 인간의 욕망이 동기가 돼 이뤄낸 기술의 ... ...
- [Tech & Fun] 삼성 딜라이트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한 ‘IT비전스쿨’이다. 삼성전자 기업스토리를 들으며 학생들이 개인의 비전을 찾아볼 수 있다. 삼성전자 직원들은 어떤 일을 하는지, 삼성전자 직원이 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하는지도 자세히 알 수 있다. 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방학기간을 활용해 IT창의개발 프로그램을 2~4주간 집중적으로 ... ...
- [가상인터뷰] 침팬지도 친구를 믿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하지만 이건 생각보다 쉬운 일이 아니랍니다. 상대방을 잘못 믿었다가 큰 손해를 볼 위험이 있기 때문이에요.그렇다면 상대방을 믿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할까요? 바로, ‘개인적인 친분’이랍니다. 이전 과학자들은 침팬지의 행동을 관찰해 침팬지도 사람처럼 더 친한 친구와 그렇지 않은 친구가 ... ...
- [핫이슈] 중학교 자유학기제, 스마트하게 준비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클릭만 해도 글자색깔이 바뀌는 것이었다. 노트를 이용해 궁금한 점을 바로 물어볼 수도 있다.신기한 스마트펜! 요걸 갖고 신나게 스마트엠베스트를 체험해 봐야겠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과학을 말이다.참여 : 고희권(서울 대진초 6), 권혁인(서울 월촌초 6), 김준영(서울 대진초 6), 김하주(서울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