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메트릭 학습 기법’으로 사물을 분석합니다. 그 결과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물을 보고도 기존에 입력받은 사진과 비교해 사물이 어느 방향을 보이고 있는지 맞힐 수 있었습니다. 인공지능을 위해 사진 속 사물의 방향을 일일이 표시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도 없습니다.이 알고리즘은 차의 종류가 ... ...
- [수학뉴스] 백제 의자왕도 구구단을 외웠을까?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발굴조사를 하던 중 한 목간을 발견하고 2년 뒤 목간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서는 이 목간이 물건을 거래할 때 수량을 나타내던 꼬리표로 추정된다고 했습니다.그런데 2016년 1월 20일에 한국문화재재단이 목간에 대해 새로운 발표를 내놓아 화제가 됐습니다. 목간학회에서 ... ...
- Part1. 난수, 넌 누구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숫자가 나오도록 속임수를 쓰지만 않는다면 주사위가 멈췄을 때 어떤 숫자가 하늘 위를 보고 있을지 아무도 모른다. 그리고 다시 주사위를 던진다. 처음 던졌던 수와 똑같이 나올 수도 있고, 새로운 수가 나올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떤 수가 나올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래서 주사위를 던지는 방법은 ... ...
- [재미] 개는 늑대의 후손?!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개가 품종이 다양해진 건 사람들이 필요로 하거나 기호에 따라 개량시켰기 때문으로 보고 있어요. 맹인을 안내하는 개, 마약을 찾는 개, 사냥을 돕는 개처럼 특정 역할을 담당하는 품종이 있지요. 또 애완견은 예쁘고 귀여운 외모를 가진 품종이 오래 살아남고 또 자손을 번식하기가 쉬웠어요. 그래서 ... ...
- [과학뉴스] 블로토 게임이론, 95년 만에 풀리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많다는 것에 주목했다. 양쪽이 모두 최선의 전략을 세워 평형상태가 됐을 때를 기준으로 보고, 그렇지 않은 경우의 수를 추려내 승률을 계산했다. 블로토 게임 전략은 실제 선거에 대입할 수 있는 전략으로 주목을 받아왔다. 어떤 지역에 얼마만큼의 투자를 해야 최종 승리할 지 계산해볼 수 있기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예측했을 뿐입니다. 그것도 해왕성이나 명왕성보다 몇 배나 큰 궤도를요. 망원경으로 보고 일일이 찾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브라운 교수는 1월 20일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아홉 번째 행성을 찾는 일에 착수했다”면서 “늦어도 5년 안에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존과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보고서를 쓰고, 논문을 내고, 방송국에 보도 자료를 보내고, 어디 정부 기관에서 TV를 보고 연락을 하면 노벨상을 받을 만한 연구를 했다고 뻥을 치는 많은 후속 작업들을 시작해야 할 시기였다.그런데 그때, 실험을 중단하면 안된다고 압력을 넣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두 사람의 뇌는 생생하게 잘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종종 있다. 복잡한 이미지를 잘 구분하는 프로그램이 아무것도 없는 텅 빈 이미지를 보고 엉뚱한 걸 대답하기도 한다. 학습을 시킬 때 워낙 어려운 문제에 집중해 공부를 시켰기 때문에 학습시키지 않은 쉬운 문제는 못 풀 수 있다. 사람은 어려운 걸 배우면 쉬운 문제는 쉽게 푸는데, 컴퓨터는 그렇지 ... ...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집중한다. 수식은 후자에서 더 많이 등장한다. 세상 곳곳에 스며든 수학의 큰 틀을 보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한다.기자는 종종 ‘과학감수성’이라는 단어를 쓴다. 어색하지만, 감수성의 사전적 의미가 ‘외부 세계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느끼는 성질’이니 딱히 안 되는 말도 아니다. 이 책의 제목에 ... ...
- [재미] 양손잡이 위상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늘려서 같은 모양으로 만들 수만 있으면 크기와 모양에 상관없이 같은 물체로 보고 연구하는 학문이요!”“맞아, 구멍만 뚫지 않으면. 나는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야. 네가 말한 물체나 지금 이 공간과 같은 연구를 할 수 있던 것은 다 내 덕이야. 내가 위상수학이라는 개념을 처음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