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언어
발언
표현
단어
언사
소리
language
d라이브러리
"
말
"(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연구원은 “바다마다 환경이 다른데, 오늘 채집한 물고기는 찬물에 사는 친구들”이라고
말
했답니다. 부경대학교 어류학실험실 3인방! - “지사탐 함께하게 돼 기뻐요!” 어류학실험실, 어류 7종 세계 최초 발견! - 명세훈저희 연구실이 가장 많이 하는 일은 새로운종을 보고하거나 다른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올 가을도 스치듯 안녕! 벌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영어 이름도 ‘꿀
말
똥가리’라는 뜻의 ‘허니 버자드’랍니다. 비행하는 모습이
말
똥가리와 비슷하지만 생김새는 별로 닮지 않았어요. 오히려 벌매는 비둘기와 닮았어요. 독수리와 같은 맹금류임에도 특유의 매서운 눈썹이 없어 순한 외모를 지녔지요. 몸의 윗면은 진한 초콜릿 색이지만, ... ...
먹고 사는 일도 과학이 돕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전쟁은 한두 달로 끝나는 게 아니더라고. 우리나라 6.25 전쟁도 3년 동안 이어졌으니까
말
이야. 평화가 찾아오기까지 난민은 뭘 하면서 지내야 할까? 난민 캠프에 최첨단 기술 ‘블록체인’이?시리아 출신 난민이 모이는 요르단 아즈라크 난민 캠프에는 주변 가게마다 안구 스캔 장비가 있어요. 이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같은 국가중요시설이 있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자연을 충분히 탐사할 수 있어 정
말
좋았다”며, “캠프에 참가한 부모와 어린이들이 생명 보존의 가치와, 자연과 더불어 사는 인식을 배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답니다 ... ...
[특별기고]목숨을 건 체험기...아마존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물놀이를 즐길 수도 있었다. 악어나 뱀이 물놀이를 함께 하지 않은 것이 참 다행이지만
말
이다. 아마존 생태 연구자의 하루환상적인 새 소리로 아침을 맞은 연구원들은 가장 먼저 하루 전에 파 둔 ‘함정’으로 향한다. 생태 연구자들이 이용하는 채집 방법 중 하나인 ‘핏폴트랩’을 확인하기 ... ...
게임으로 충격을 치료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난민은 폭탄이 떨어지고 총소리가 오가는 전쟁터를 피해 전세계로 뿔뿔이 흩어졌어. 전쟁터라니 얼마나 끔찍했을까? 그런데 게임으로 이런 충격을 치료할 수 있대! 테트리 ... 줄어든다는 것을 발견했지요. 홈즈 교수는 “테트리스는 PTSD의 손쉬운 예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
했답니다 ... ...
[식물 속 동물 찾기] 꽃이 낙지를 닮았네! 낙지 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8개로 갈라진 낙지의 다리에는 동글동글하고 중간이 오목하게 들어간 빨판이 잔뜩 줄지어 붙어있어요. 다른 동물이나 물체에 달라붙거나 피와 양분을 빨아먹을 수 있기 때문에 ... 약관심종은 현재 멸종 위험은 적지만 분포 조건에 따라 멸종 위기가 될 수도 있는 식물을
말
한답니다 ... ...
점점 늘어나는 난민, 그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신청자가 얼마나 늘지 계산했어요. 그 결과, 인류가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으면 21세기
말
에 난민 신청자는 200%까지 늘어나요. 반면 인류가 노력해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혁명 이전에 비해 1.5℃ 이내로만 오른다면 난민 신청자는 30%만 늘어날 뿐이지요. 그런데 2017년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출신국에서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어 국제적인 보호가 필요한 사람. (특집기사 참조) 낱
말
퍼즐 정답은 8월 17일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 공지사항에서 확인해주세요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고양이가 나타나 소스라치게 놀란 적도 많았어요. 이럴 땐 속으로 ‘제비 연구를 위해 정
말
별걸 다 하는구나’라고 푸념했답니다.” 정다미 연구원이 직접 조사한 우리나라의 폐가와 프랑스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114곳 중 단 두 곳에만 제비가 살았어요. 두 곳도 양옆엔 사람이 사는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