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해"(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 24시간 태양이 빛나는 북극 다산기지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우리도 이젠 당당한 북극 옵저버다산기지의 활약을 보기 전에 먼저 니알슨 지역에 대해 알아봐요. 이곳은 인간이 거주하는 곳 중에서 가장 북극에 가까운 지역이에요. 이곳에 오면 여러 나라의 연구소가 옹기종기 모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남극 킹조지섬에 있는 세종기지는 우리나라만 ... ...
- 네안데르탈 학당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밖에 내놓고 말하기 창피한 친척이었지요. 서구 사람들이 네안데르탈인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20세기 초, 프랑스 라 샤펠 지역에서 발견된 화석 한 점입니다. 두개골과 몸통, 팔다리 뼈가 남은 이 화석의 주인공은 좀 구부정한 모습을 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나이가 들고 ... ...
- 하우스는 정말 명의일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건강식품보다 잠이 낫다건강식품이나 한약에 대해 적용해 볼까요? 저는 건강식품에 대해 부정적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건강식품을 잘 먹지는 않습니다. 역시 기본비율, 확률의 문제입니다. 제 건강이 100이라면 95이상은 평소 식사, 수면, 운동, 마음가짐, 환경, 스트레스에 좌우받을 겁니다. ... ...
- “정답 없는 문제를 풀어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이처럼 생물로부터 원하는 재료를 뽑아내고 알맞게 가공하기 위해선 당연히 생물에 대해 잘 알아야만 합니다. 이 때문에 생물을 연구하는 교수들이 우리 과에 많이 있습니다. 냄새를 맡고 어떤 냄새인지 알아내는 ‘전자코’도 생물학과 화학, 공학이 모두 합쳐져 만들어낸 결과물입니다. 한 마디로 ... ...
- Part 3.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묶는 끈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떠오르지 않는다는 것도 알고 있다. 이처럼 본능적으로 우리는 중력, 즉 당기는 성질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물리학자들에게 물어보면 중력이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힘이라고 답을 할 것이다. 왜 그럴까.뉴턴의 중력이론은 약 100년 전쯤 어떤 관찰자가 재더라도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실험 ... ...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방사능물질이 가득 쌓인 원자로 속으로 씩씩하게 걸어 들어가 고장난 냉각관을 수리하고 나오는 로봇. 거센 불길의 화재 현장을 뚫고 들어가 사람을 업고 나오는 로봇…. 아직까지 이런 로 ... 있다”고 말했다.세계 최고의 재난구조로봇 대회에서 한국 과학자들의 우승을 기대해 본다 ...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과학동아 l2013년 07호
-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조사한 GMO 유출 실태를 공개했다. GMO로 의심되는 식물체와 알곡에 대해 단백질과 유전자 검사를 한 결과 GMO로 최종 확인된 건수는 2009년 19건(옥수수 17건, 유채 1건, 면화 1건), 2010년 12건(옥수수 8건, 면화 4건)이었다.유출된 GMO는 얼마나 광범위하게 자라고 있을까. 자료에 따르면 .. ...
- [섭섭박사가 간다!] 힘을 분산시켜 튼튼! 현수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연결해 만든 다리야. 아래 현수교 구조를 자세하게 살펴볼까?2 현수교 만들기현수교에 대해 잘 알았겠지? 그럼 지금부터 현수교를 만들어 보자!다리는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 잊지 말고 만들기 시작~!3 섭섭박사를 올려라!섭섭박사님~! 직선 모양 케이블과 포물선 모양 케이블 현수교 중에 ... ...
- 3차원 - 단군은 혹등고래 타고 동해 건넜을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고려해,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58점의 고래 그림 중 형태학적으로 구분이 명확한 4점에 대해 생태학적 특징을 곁들여 종을 식별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를 꿈꾼 거대 포유류, 고래1차원 - 제돌이, 바다로 돌아가다2차원 - '놀 줄 아는 동물' 고래의 생태, 행태, 세태3차원 - 단군은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오랜 시간을 보낼 수도 있었다. 연구팀은 3가지 바닥 종류를 조합한 6가지 경우의 수에 대해 먹이의 위치를 조금씩 바꿔 가며 다양하게 실험했다.연구팀이 상자에 개미 무리를 넣자 먹이를 향해 가는 경로가 페르마의 원리에 따라 예측한 경로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직선 경로를 따른 게 아니라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