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이론을 공리에 근원해서 체계적으로 쌓아올렸다. 유클리드 기하학의 유명한 공리는 다음과 같다.❶ 임의의 점과 다른 한 점을 연결하는 직선은 단 하나뿐이다.❷ 임의의 선분은 양끝으로 얼마든지 연장할 수 있다.❸ 임의의 점을 중심으로 하고 임의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릴 수 있다.❹ ...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당장 입원시키실 거죠? 정신병도 다르지 않습니다.” 그의 아버지를 만나다.“빵빵!” 다음 날 출근 길, 검은 차량 한 대가 집 앞에 서 있었다. 건장한 사내 여럿이 나를 차로 밀어 넣었다. 차 안에는 단정한 노신사가 앉아 있었다. “의사 선생답지 않게 옷차림이 반듯하지 못하군요.” 인사보다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시대와 기술은 계속해서 변하고, 사회가 대학에 바라는 인재상도 계속 바뀐다. 숭실대가 다음으로 준비하고 있는 상품은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다.나만의 라즈베리 파이로 사물인터넷 전문가 된다숭실대에서 내년에 첫 신입생을 받는 스마트시스템 소프트웨어학과는 임베디드 시스템에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대통령이 하는 말이다. 석유시추공들은 속성(?)으로 비행기술을 배워서 우주로 날아간 다음 소행성에 구멍을 뚫고 핵폭탄을 터뜨려 지구를 구한다. 하지만 핵폭탄은 그리 좋은 대안이 아니다. 소행성에 핵폭탄을 심는 것도 어렵지만, 터뜨리는 데 성공해도 잔해가 어디로 튈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무협지 보면 장풍을 쏘잖아요. 거기 퓨마 옷 입은 학생 일어나서 저한테 장풍 한번 쏴 보세요. 장풍도 에너지라고 가정할게요. 자, 이렇게 에너지를 얻은 ... 매달 개최되며(참가비 1만 원), 과학동아 정기구독자 및 서포터스는 무료다. 전문은 다음 링크(http://goo.gl/VSAsbS)에서 볼 수 있다 ... ...
- [life & tech] ‘강철 멘탈’ 되는 법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통해 위안을 얻고 넘어간다. 자신에 대해 너그럽게 생각해본 사람은 다음에는 더오랜 시간동안 공부를 했다.실패 앞에 겸손해지기스스로를 몰아붙이며 채찍질하거나 결과는 덮어놓고 나는 멋진 사람이라 정신 승리하는 것은 좌절을 이기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너그럽게 자신을 이해하고 완벽할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가장 많이 먹었을까? 단연 돼지다. 총 소비량의 절반이 돼지고기다. 닭고기가 28%로 다음이다. 돼지와 닭이 한국인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 된 이유는 싸면서도 맛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만나기도 힘든 한우와 달리 ‘토종’을 먹을 수 있는 기회까지 준다. 흑돼지나 토종닭 같은 녀석들 말이다.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기록한 뒤 풀어줬다. 일이 끝나면 연구실로 돌아가 컴퓨터에 사진을 올리기만 하면 된다. 다음에 같은 개구리를 관찰하게 되면 계절에 따라 어떻게 이동하는지, 얼마나 이동하는 지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김미연 연구원은 “아직 분석 중이긴 하지만, 청개구리가 처음 정한 서식지에서 크게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한계 때문에 이들을 구별할 수 없다. 하지만 고흐의 점묘법처럼 따로따로 빛을 내도록 한 다음 이를 한데 모으면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베치그는 운 좋게도 미국 보건성에 있는 과학자들의 도움으로 각개격파가 가능한 형광 단백질들을 얻을 수 있었다. 2006년 실험을 통해 단일 분자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작업기억’이라고 하는, 컴퓨터로 치면 램 같은 기억 공간이 가득 찬다. 이곳을 비워야 다음 작업을 할 수 있는데, 이리저리 산만하게 수많은 작업을 하게 되면 이 과정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김성찬 서울탑마음클리닉 분당클리닉 원장은 “시각 자료를 보고 난 뒤에는 뇌에 잔상이 남는다”며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