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뉴스
"
저널
"(으)로 총 3,045건 검색되었습니다.
커피전문점 들어서면 스마트폰이 자동으로 충전
2015.07.07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지난달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전력전자
저널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에 게재했으며, KAIST 입주기업인 ‘테슬라스’에 이전해 상용화 할 예정이다 ... ...
탄저균만큼 위험한 야토균 손쉽게 검출
2015.07.02
년 내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위험물질 전문 학술지인 ‘
저널
오브 해저더스 머티리얼스(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5일자에 게재됐다. ... ...
국내 첫 기초의학 연구단 ‘혈관연구단’ 출범
2015.07.01
꼽힌다. 혈관 분야 국제학술지 ‘블러드(Blood)’ 편집위원이며 최근에는 암 연구분야 국제
저널
인 ‘캔서 리서치(Cancer Research)’의 암혈관 분야 편집위원도 맡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암세포와 혈관 생성의 관계 등으로, 모세혈관의 생성과 사멸을 통해 암을 비롯한 여러 질환을 극복하는 연구를 ... ...
[메르스 업데이트] 독일, 메르스 백신 개발해 임상 돌입 예정
2015.06.24
S’의 효능을 확인하고 임상시험을 준비 중이라고 22일(현지 시간) 발간된 ‘바이러스학
저널
(Journal of Virology)’ 6월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쥐의 유전자를 조작해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되도록 만든 뒤 백신을 투여해 체내 메르스 바이러스의 양을 추적했다. 메르스 바이러스는 호흡기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바이러스 복제 막는 물질 찾았다
2015.06.22
단백질 분해효소를 방해하는 화학물질을 합성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생화학
저널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8일자에 발표했다.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에 침투한 뒤 자신의 유전물질을 복제하면서 새로운 단백질을 만들어 낸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길게 형성된 단백질을 중간에 끊어 ... ...
[메르스 업데이트] 바이러스 제거에 물티슈 효과 있을까요?
2015.06.18
여러 번 사용하면 오히려 세균을 퍼뜨리는 결과를 낳는다는 연구 내용을 ‘미국감염통제
저널
’ 지난달 1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물티슈 한 장으로 세 군데를 연속적으로 닦은 뒤 표면의 세균 발생 정도를 비교한 결과 세균이 별로 없던 곳에서 세균이 증가한 사실을 확인하고 병동에서 ... ...
팀 헌트 “자기비하적 농담은 아주 잘못된 판단”
2015.06.17
이와 같은 내용은 이날 오찬에 함께 참석한 코니 세인트루이스 영국 런던시티대 과학
저널
리즘 교수가 본인의 트위터에 올리면서 외부에 알려졌다. 여성과총은 16일 헌트 박사의 부적절한 발언에 대해 사과를 요구했으며, 헌트 박사가 e메일로 즉각적인 사과문을 보내왔다고 밝혔다. 헌트 박사는 ... ...
[메르스 업데이트] “동물→사람 감염, 생각보다 쉽게 일어나”
2015.06.16
가지 변이만 일어나도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바이러스학
저널
’ 1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지금까지 메르스는 박쥐에게서 유래한 바이러스가 낙타에게 옮아간 뒤 사람에게 전염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어떻게 이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사람에게 ... ...
[메르스 업데이트] “홍콩이 메르스 전파 ‘허브’ 될 수도”
2015.06.15
항공기를 통한 메르스 바이러스의 확산 경로. - 랜싯 제공 중국 의학계가 한국의 메르스 확산에 우려를 나타내며 중국에도 번질 수 있다고 경계심을 드러냈다. 중국과학원(CAS)과 남중국농업대 등 중국 연구진은 전염병이 무역과 여행객을 따라 쉽게 국경을 넘어 번질 수 있다며 현재 한국의 메르 ... ...
인터넷 1000배 빨라진다…40만 배 강력한 빛 만드는 법 찾아
2015.06.15
빛을 한 점에 모은 모습. 가로세로 4나노미터(nm)의 좁은 공간에 모인 빛의 파장이 모인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빛을 한 곳으로 모아 40만 ...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성과는 미국화학회 나노분야
저널
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10일자에 게재됐다.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