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이 마신 술의 양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A씨가 혈중알코올농도 0.05% 상태에서 운전하다 경찰에 단속돼 면허가 정지됐다. 그런데 A씨는 도리어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냈다. 음주
측정
기가 5%의 편차율이 있기 때 ... 불확도를 5%로 유지한다. 혹 억울하게 음주단속에 걸렸다면 이렇게 물어보자. “음주
측정
기의 불확도가 얼마나 되죠 ... ...
바이오 에탄올 만드는 인공세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되려면 셀룰레이스라는 효소가 많이 필요하다. 하지만 식물에 있는 셀룰레이스는
측정
조차 어려운 미량이다. 이 점에 착안한 황 교수는 셀룰레이스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인공세포를 갖춘 작물을 만들어내는 연구에 뛰어들었다. 연구가 순조롭게 진척되면 ‘황 교수표’ 작물에서는 보통 작물보다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스케일에 의해
측정
점의 3차원 직교좌표값을 읽어 물품의 치수·형상을 구하는
측정
기신호파와 참조파에 의해 생기는 간섭무늬를 투명하면서 간섭무늬 간격에 비해 충분히 두꺼운 감광층을 가진 감광재료를 써서 입체적으로 기록한 홀로그램평면적(1층)으로 되어 있는 초LSI소자를 입체적으로 쌓아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규표라는 긴 막대를 이용해 동지 근처 여러 날 동안 정오의 해 그림자 길이를 해마다
측정
해 실제 동지점을 구했다. 이 동지점을 바탕으로 1태양년의 길이를 산출했다. 태양년의 길이는 역법마다 달라 ‘칠정산내편’에서는 원나라 때 천문학자 곽수경이 얻은 365.2425일을 채용했다.천구에서 태양이 ... ...
'새대가리' 같지 않게 똘똘한 비둘기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비둘기보다 훨씬 뛰어난 기억력을 갖고 있어 3년 이상 실험을 했지만 기억력의 한계를
측정
하지 못했다. 두 동물 모두 연구팀의 예상보다 기억능력이 매우 뛰어났으나 두 동물이 그림에 반응하는 방식과 기억하는 양은 달랐다 ...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아토초는 펨토초보다 1000분의 1이나 짧다. 이처럼 빠르게 일어나는 원자나 분자의 운동을
측정
할 수 있게 된 것은 펨토초 레이저를 사용하면서부터다.강력한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해 원자를 진동시키면 결맞는 X선을 만들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X선은 처음 쏜 레이저 펄스의 결맞음성은 그대로 ... ...
[천문우주]태양계 밖 외계행성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핸슨 연구팀은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최초로 태양계 밖 행성의 낮과 밤 온도차를
측정
했다. 이 결과는 지난 10월 27일자 사이언스에 발표됐다.천문학자들은 1995년 10월 처음으로 태양계 바깥에서 행성을 발견한 뒤 지금까지 200개가 넘는 외계행성을 찾았다. 대부분 기체 성분인 이들은 목성 ... ...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물질이 주로 핵과 원반에서 관찰되는데 비해, 별들이 은하핵 주변을 회전하는 속도를
측정
하면 ‘헤일로’라는 은하 외곽부에도 눈에 보이지 않지만 상당한 질량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암흑물질이다.많은 과학자들은 암흑물질의 후보로 보통 물질과 다른 ‘별난 입자’(exotic ... ...
마빡이는 엄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얼빡이, 대빡이, 마빡이 동작을 각각 10분간 취하며 산소섭취량과 심박수의 변화를
측정
했다.각 동작이 끝나고 휴식을 취해 평상시 산소섭취량과 심박수를 완전히 회복한 뒤 다음 동작을 실시했다.가장 쉬워 보이는 갈빡이 동작은 역시 힘들지 않았다. 83회에서 시작한 심박수는 10분이 지나도록 10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밀도 차이와 상태에 따라 X선이 흡수되는 정도가 달라진다. 이런 흡수차를 검출기로
측정
해 인체의 단면을 2차원 영상으로 만들어낸다. 머리에서 발끝까지 어떤 부위라도 검사할 수 있다.노벨상을 안겨준 X선 기술CT촬영기술은 1972년 영국 EMI의 곳프리 하운스필드와 미국 터프츠대 앨런 코맥이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