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정확히 수직으로 막대기를 세우고 하짓날 날씨가 맑기만을 기다렸다. 그림자가 만들어
지지
않을 정도로 옅은 구름만 끼어도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 크기 측정은 1년을 연기해야 했다. 하짓날 아침 동북쪽에서 얼굴을 내민 태양은 다행히도 맑고 깨끗한 모습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막대 그림자의 ... ...
냄새와의 전쟁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인식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특정 냄새 성분이 어떤 생화학적 경로에 관여하는지는 밝혀
지지
않았다.후각은 쉽게 피로해진다. 처음 고깃집에 들어설 때는 역겨워하다가도 시간만 지나면 곧 무감해진다. 이것은 모든 신경이 피로현상을 보이지만 유독 후각이 쉽게 피로를 느끼기 때문이다. 하지만 ... ...
턱도 디스크에 걸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못합니다. 그러나 장치물을 사용하면 빠져나간 부분이 단단한 살로 변해 통증이 느껴
지지
않게 됩니다.L: 그럼 얼마 동안 장치물을 끼고 있어야 빠져나온 부분이 딱딱하게 변하나요?의사:무거운 가방을 하루 이틀 든다고 손바닥에 굳은살이 생기지 않는 것처럼 시간이 좀 걸립니다. 보통 3개월에서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한다. 오늘날 현생인류인 슬기사람은 아프리카에서 시작됐다는 단일지역기원설이 많은
지지
를 받고 있다. 최근의 고인류학연구에 따르면 20만년-15만년 전 남아프리카에서 처음 나타난 이 현대인은 10만년 전을 전후해 서아시아 지역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지역으로부터 이들의 이동경로를 ... ...
벤처기업가로 나선 이면우 교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일반대학에는 몽상가들만 판을 치지요.” 그러니 지게와 지겟다리처럼 역할분담이 이뤄
지지
않는다는 게 우리나라 대학벤처의 현실이라고 이 교수는 말했다. ‘배가 산으로 가는’ 형국이 발생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왜곡된 국내 벤처기업 벤처기업을 해서 성공할 확률은 그리 높지 않다.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Random Access Memory)은 D램과 달리 전원만 연결돼 있으면 칩 내부에 기록된 데이터가 지워
지지
않고 유지된다. 트랜지스터 4개와 커패시터 2개를 쓰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다. 따라서 IC 한 개당 기억 용량은 크게 할 수 없으나 고속처리가 가능하고 저전력에서도 동작한다.F램(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살 수 있는 곳이다. 그러나 개발이란 명목으로 삼림이 파괴됨으로써 지금까지 알려
지지
않은 많은 생물들이 매일 지구에서 사라져가고 있다.대부분의 생태학자들은 중생대 말에 일어났던 생물의 대절멸 사건과 같은 일이 앞으로 생길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그것은 소행성이나 혜성의 충돌 같은 ... ...
'사람은 먹고 벌레는 못 먹는' 배추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독성을 일으킨다. 그러나 사람의 몸에서는 이 단백질이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
지지
않아 전혀 해롭지 않다.그런데 비티톡신을 만들어내는 유전자는 토양박테리아가 가지고 있다. 결국 이 토양박테리아의 비티톡신 생산유전자를 빼내서 배추의 유전자에 넣어주면 이 배추는 비티톡신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가을철 저녁 무렵 초승달이 어둠과 함께 나타나는 때이다. 이 때는 완전히 어두어
지지
않아 1등성 정도의 밝은 별들만 달과 함께 보일 수 있다. 가을철 서쪽에 있는 별자리는 목동자리, 처녀자리 등 봄철 별자리이다. 이곳에서 처녀자리 1등성인 스피카는 고도가 낮아 이미 지평선 아래로 졌을 ... ...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않는다. 나머지 대부분은 유전성향은 의심되지만 관련 유전자가 여러개이거나 아직 밝혀
지지
않은 질환들이다.어째서 생명과학이 눈부시게 발달하고 있는 요즘에도 아직 이렇게 모호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을까? 생물학의 중요한 기본 개념인 중복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면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