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안전에 끄덕없다. FOGSCREEN순도가 높은 증기 위에 영상을 보여주는 스크린. 증기가
일정
한 층을 형성하도록 한 뒤 프로젝트로 그림을 뿌려주기 때문에 보행을 방해하지 않는 광고판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다.미래가 던지는 유쾌한 상상력 - 엔터테인먼트HUMAN PAC-MAN한때 오락실을 풍미한 팩맨을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일으킨다 이러한 간섭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두 파동 사이의 위상차가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
해야 한다는 조건이 필요하다생식을 위해 정소의 체세포가 특정한 형태로 변한 반수체의 염색체가 있는 웅성생식세포 체세포에서 정자가 생기는 과정을 정자형성이라 하고 특히 최후의 변형이 현저한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경우 전체를 극히 작은 직사각형의 부분으로 나누고 다음에 이 띠모양의 부분을 1개씩
일정
방향으로 소사(掃射)하여 광학적인 강약을 전기적인 강약으로 변환한다 결국 넓은 화면을 먼저 많은 선, 즉 주사선으로 나누고 다시 각각의 선을 많은 점의 집합으로 나누어 전체를 아주 작은 화소(畫素)로 ... ...
용암이 남긴 육각기둥 병풍 주상절리대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힘이 분배되고, 식는 속도가 다소 느리면 지표면에 오각 또는 육각형의 균열이 수직으로
일정
하게 나타나는 것이다.이 균열을 따라 비나 눈 등 수분이 침투해 얼고 녹기를 반복하면서 점차 바위의 틈이 벌어지고, 벌어진 틈에서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침식과 풍화가 계속되면 결국 바위덩어리가 하나 ... ...
"떨어지는 속도를 줄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있기 때문에 떨어지는 물체는 공기 저항과 중력이 같아지는 순간 더 이상 가속되지 않고
일정
한 속도로 떨어지지요. 이 때의 속도를‘종단 속도’라고 한답니다. 종단 속도가 없다면 하늘에서 내리는 비는 계속 속도가 늘어나서 지표면에 도착할 때에는 거의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떨어진다고 해요.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권위자인 이배아 박삽니다.수행원 : (이배아와 부시가 인사를 나누는 동안) 다음
일정
이 촉박합니다. 이제 이동하시죠.부시 : 알겠네. 잠깐, 하나만 더 물어보죠. 줄기세포로 치매도 치료할 수 있나요?이배아 : 아직은 어렵습니다. 저도 한땐 만능 의사가 될 거라고 장담했죠. 하지만 인체는 의술보다 ... ...
증기기관 vs 대기압 철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빨려 들어가 제동 장치를 있는 힘껏 조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속도 조절기가 없어
일정
한 속도를 유지하기도 힘들었다.경제적일 것으로 예상했던 단일 선로 시스템은 실제로 대기압 기차가 운행에 들어가자 오히려 큰 걸림돌이 됐다. 어느 구간에서든 기차가 한번에 한 대밖에 운행할 수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식물의 꽃눈 형성이 달라지는 현상벼 코스모스 담배 국화 등과 같이 꽃눈 형성을 위해
일정
시간 이상으로 밤이 길어야 하는 식물어떤 물건의 안이나 밖을 다른 물건으로 덧바르거나 붙이는 등으로 피복해서 표면을 보호하는 일 또는 자동차의 제동장치에서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철제 드럼 안쪽에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도약’을 반복한다. 한 번에 쭉 연달아 글을 읽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일정
한 위치에서 시선을 고정시킨 뒤 다음 고정 위치로 시선을 이동시킨다.대개 4분의 1초 정도 되는 짧은 시간 동안 시선을 고정하고, 이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시선을 도약한다. 글을 잘 읽을수록 고정 시간은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급변했다.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알레산드로 볼타가 1800년에 볼타 전지를 발명하면서
일정
한 세기로 계속 흐르는 전기, 곧 전류를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영국의 험프리 데이비는 전류를 사용해서 전기 분해 방법을 개발했고, 이로부터 기존의 화학적 방법으로 분리할 수 없었던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