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식
보통생각
d라이브러리
"
일반생각
"(으)로 총 4,50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21세기 과학계의 가장 큰 화두는 생명공학, 그 중에서도 인간게놈프로젝트다. 이런 이유로 개봉 당시부터 화제를 모았던 가타카는 지금도 SF 마니아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수작이다. 인간 유전자에 대한 정복은 불치병 완치의 가능성을 높이는 등 장밋빛 미래의 개화를 예견하지만, 그 이면에서 펼쳐 ... ...
폭력과 자기파괴 일삼는 파월장병 하얀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영화‘하얀 전쟁’에서 이경영은 전쟁을 연상시키는 작은 단서만으로도 공포와 불안을 느끼는 전쟁후 증후군 환자 역할을 실감나게 연기한다. 정신적 스트레스가 뇌의 생리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전쟁후 증후군이 사람들의 관심 반열에 등장하게 되는데….20세기는 ... ...
③ 생리ㅣ 부작용 없는 치료제 약속하는 인공효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생체 내 수많은 화합물 중에서 필요한 것을 선택해 반응을 일으키는 효소.최근 이렇게 놀라운 능력을 가진 효소를 모방한 인공효소가 각광 받고 있다.여러가지 화합물이 뒤섞인 환경에서 활약할 미래의 주인공, 인공효소를 만나본다.생체에는 수천 종류가 넘는 화합물들이 뒤섞여 있다. 그런데 놀 ... ...
로봇공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상상속에서만 존재하던 로봇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실제 강아지처럼 행동하는 애완용 로봇에서 사람 형상을 닮은 로봇까지. 앞으로는 설거지하고 청소하며 경비를 서는 로봇을 쉽게 볼 수 있을 전망이다. 21세기 첨단과학 로봇공학을 만나보자.올해 고등학교에 입학한 K군. 평소 로봇에 관심이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박사님, 이건 우리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비방인데요…”라고 하면서 요즘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의 정혁 단장(46)을 만나러 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강원도 산골짜기에 사는 한 농민은 ‘헛개’라 불리는 나무의 열매를 달여 먹으면 숙취 해소에 그만이라 하고, 경기도 동두천의 한 건 ... ...
우주탐험의 지상관문 세계의 우주센터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비행기로 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주로 공항을 이용하듯이 우주관련 SF물을 보면 우주여행을 떠나고 도착하는 지구기지가 흔히 나온다. 앞으로‘우주시대’인 21세기에는 우주여행이 보편화될 전망이다. 달 이외의 행성에까지 사람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지구에서 우주로 여행을 떠날 ... ...
대입 면접고사 가이드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2002학년도 수시모집에서는 다른 때에 비해 심층면접구술고사의 반영비율이 높다.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로 등장한 심층면접. 이번호 과학동아에서는 기존에 출제됐던 주제인 빛의 이중성과 천체의 표면과 대기, 그리고 출제가 예상되는 주제인 유전자의 우열과 확률의 맹점을 다뤘다.1. 유전자의 ... ...
바이오벤처 전략의 교과서 유진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아무런 기술 없이 시장 조사를 바탕으로 목표를 정한 뒤 연구개발에 들어가 창업 4년 만에 상품화에 성공한 기업이 있다. 바이오벤처가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교과서로 불리는 유진사이언스를 통해 우리나라 바이오벤처의 미래를 알아보자.대부분 생명공학 제품이라면 의약품이나 농업, 산업에서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성을 두고 치열한 ‘속도전’을 벌이던 라이벌인 다국적팀과 셀레라가 한자리에 모여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2월 12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다국적팀과 미국 생명공학회사 셀레라는 워싱턴과 런던, 파리 등에서 일제히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마침내 인간게놈프로젝트가 ... ...
중학교 과학교과서 컬러시대 열렸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가장 딱딱하고 재미없게 보이는 책을 꼽으라면? 아마 학생들은 ‘교과서’를 뽑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올해 중학교를 입학하는 학생들은 좀 다르게 생각할 듯하다. 교과서가 모습을 싹 바꿨기 때문이다. 어떻게 달라졌을까.우선 외형을 살펴보았다. 첫눈에 들어오는 것은 크기의 변화. 16.9×23.7cm에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