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캡틴마블' 옥에 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음성 세균의 세포 외막에 있는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와 반응하면 응고한다. 이를 이용하면 특정 물질에 세균이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많은 제약사들이 LAL을 위해 투구게의 피를 무분별하게 채취하고 있어 투구게의 생존을 위협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현재 투구게는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감각을 통해 불편했던 기억에 사로잡히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의 경우 신경전극을 이용해 해당 감각의 작용을 억제하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BMI 기술이 행동이나 기억에 관련된 신경장애 환자들을 돕는 데 사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정재승|재밌는 과학, 따뜻한 과학으로 대중의 마음을 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질문을 받고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아보가드로의 법칙’을 이용해 이순신 장군의 숨결을 계산했다. 이 일화는 방송의 ‘킬링파트’로 두고두고 회자됐다. ‘과학인데 재미있다(?)’는 반응이 쏟아졌다. 대중에게 열린 과학으로 다가가는 그의 놀라운 소통 능력이 또 한 번 빛을 ... ...
- [전지적 수학 시점] 크레이지아케이드. 삼각 배치로 물풍선 연속 터뜨리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이것을 ‘연사(연속 사격)’라고 합니다. 물줄기가 닿은 물풍선은 즉시 터지는 특징을 이용해 물풍선 2개를 동시에 터뜨리고, 다음에 터질 풍선(대기 풍선)을 미리 놓아 터지는 간격을 줄이는 겁니다. 크레이지아케이드에는 연사 외에도 유용한 스킬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캐릭터를 정사각형 ... ...
- [화보] 신비한 생명이 가득! 2018 야생 사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바다 얼음 수영장 오픈! | 남극의 빙하에서 떨어져 나온 얼음조각을 저소음 드론을 이용해 찍은 사진이에요. 얼음조각이 녹으면서 안쪽으로 물이 들어와 하트 모양의 수영장이 생겼답니다. 얼음조각 위에 누워 있거나 물속에서 유유히 헤엄치고 있는 물개들이 마치 수영장에 놀러온 ... ...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옆 방에서 취조실 안에 있는 용의자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만든 유리창이에요. 이 창을 이용하면 옆 방에서는 취조실의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취조실에서는 옆 방의 모습을 볼 수 없답니다. 어떻게 한쪽에서만 보이는 창을 만들 수 있는 것일까요? 첫 번째 비밀은 반투명 거울에 있어요. 반투명 ... ...
- '오로봇'의 부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적용할 수 있는 길부터 마련해야 한다”며 “CT로 스캔한 화석 데이터를 3D 프린팅을 이용해 인쇄하면 화석을 보기 위해 특정 박물관을 찾지 않더라도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찰스 마셜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통합생물학과 교수팀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리건주,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공급된다. 유럽해양에너지센터의 조력과 풍력, 파력 발전 등으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고 있다. 바다 속 차가운 온도와 해수를 활용해 데이터센터를 냉각하기 때문에 에너지 사용량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다. MS는 “육지의 데이터센터보다 더 적은 비용으로 운영이 가능하고, 육지보다 10도 더 시원해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향후 약물을 전달하는 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안 교수팀은 집속이온빔을 이용해 근육의 가장 작은 단위인 근원섬유(Myofibril)를 수백nm 크기의 구조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안 교수는 “현재 이 구조물의 성능을 검증하고 있다”며 “사람의 근육을 대신하는 기본 구조물 제작 등 의료용 ...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발표했다. doi: 10.1126/scirobotics.aav2975이 교수는 “두뇌에서 벌어지는 신경과학적 과정을 이용해 인공지능이 목표를 스스로 재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며 “앞으로 등장할 차세대 인공지능은 인간처럼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특정 범위 내에서는 인간처럼 사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이전2662672682692702712722732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