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기까지 30년이나 걸렸습니다. 그간 매년 상을 기대하진 않았나요?” 지난 10월 5일 스웨덴 왕립과학원이 위치한 스톡홀름에서 미국의 산타바바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
자 찾아내 2004 엽기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한밤에 청어가 방귀를 뀌는 까닭은 무엇일까. 화장실 유머가 아니다. 노벨상 시즌에 맞춰 재미있으면서도 엽기적인 연구에 주는 ‘이그노벨상’ 중 생물학상을 받은 주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
자 찾아내 2004 엽기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박혀있는 수용체분자는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을 인식해 신호를 전달한다. DNA의
유전
정보를 담은 전령RNA를 읽어들여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리보솜은 나노조립라인이고 DNA를 복제하는 중합효소는 복사기에 해당한다. 단백질분해효소는 건물해체현장의 불도저와 같고 세포막에 있는 이온채널은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변신한 생체분자의 세계를 들여다보자.DNA가닥으로 만든 정8면체 먼저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하는 매체인 DNA를 보자. DNA가 나노소재로 관심을 끄는 이유는 먼저 DNA이중나선의 크기가 나노스케일이기 때문이다. DNA는 5개의 탄소로 이뤄진 당분자인 디옥시리보스와 인산염이 뼈대를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다소 침체된 생명공학 연구 분위기를 되살리기 위해 순수 연구 목적에 한해서는
유전
자변형 연구를 허용해 주는 등 생명공학연구를 장려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캠퍼스 한쪽에서는 가상현실 체험 공간도 마련됐다. 대학안팎의 여러 연구소들이 직접 개발한 가상현실이 전시됐고, 1시간 ... ...
유전
자와 환경이라는 닭과 달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통한 양육’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함으로써 한차원 높은 곳으로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유전
자는 환경과 반응하면서 자신이 만든 것을 거의 동시에 해체하거나 재구성한다는게 리들리의 결론이다.“게놈은 실제로 엄청난 변화를 몰고 왔지만, 그 변화는 논쟁의 종료됐거나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옥시토신은 암컷이 모성본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옥시토신을 만드는
유전
자를 제거한 암컷 들쥐는 자신의 자손을 나몰라라 하고 팽개쳐 둔다.들쥐에서 발견된 결과는 사회적, 성적 행위에 신경전달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신경회로가 상황에 따라 변하며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가운데의 아래)을 삼키고 있는 신체의 면역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는 수채화다. 세포의
유전
물질은 빨강과 오렌지색으로, 세포질은 파랑과 자주색으로, 세포막과 관련 단백질은 녹색으로, 마지막으로 혈액은 갈색과 노란색으로 표현됐다. 이 그림은 미 라호야에 위치한 스크립스 연구소 내 통합 분자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치료법이 제대로 작동하게 하는데도 나노약물전달시스템이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유전
병을 비롯해 많은 질병의 경우,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상 DNA를 세포에 도입하는 방법이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문제는 이 DNA가 어떻게 세포막 또는 세포내 핵막을 통과할 수 있게 만드느냐는 것이다.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다.연구자들은 여기에 착안한 것. 연구팀은 바퀴벌레에
유전
학적으로 변형된 누룩세포를 이식해 유해물질을 맞닥뜨리면 저절로 빛이 나도록 했다. 이 누룩세포를 바퀴벌레 등에 붙인 뒤 특정 지역에 침투시키면 유해물질의 존재와 위치까지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