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도달하는 시간은 수 시간에서 길면 수 일이다. 지구 상공에서 ISS까지 직선 거리는 350km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에 불과하지만, ISS가 초속 8km로 지구 주위를 돌면서 계속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발사부터 귀환까지는 8일에서 길게는 15일이 될 전망이다.드래곤V2최초 민간 유인우주선2002년 엘론 ... ...
- 필즈상, 금녀의 벽을 허물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8월 13~21일, ‘수학 올림픽’으로 불리는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가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다. 세계 120여 개국 수학자 4000명이 참석한 이 대회 개막식에서는 수학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 수상자 4명에 대한 시상식도 개최됐다. 올해 필즈상은 최초의 여성 수상자, 최초로 북미와 유럽 외의 ...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뒤로 국내 최대의 드론 전용 시험장이 보인다.“지난해 10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3 서울 항공 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에서 인기 댄스곡에 맞춰 드 론 군무를 선보였습니다. 그땐 드론이 5대에 불과했지 요. 20대로 늘리기까지 컴퓨터 통신이 가장 말썽이었어요. 드론이 늘어날수록 중앙 ...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올림픽’으로 불리는 수학계 최대행사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ICM)’가 8월 13일부터 21일까지 9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세계수학자대회는 국제수학연맹이 1897 ...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 ...
- 양자냐 아니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일축했다.하지만 디-웨이브가 엄밀한 양자컴퓨터가 아닌 게 맞다는 주장도 있다. 안도열 서울시립대 우리석좌교수는 “(양자컴퓨터를 흉내 낸) ‘양자시뮬레이터’로 보는 게 더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연욱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도 “양자역학적 특징이 섞여 있는 컴퓨터라고 보는 게 더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혁신으로 단련된 분야다. 새로운 기술이 나와 판도를 바꿀 가능성을 무시하기 힘들다. 서울시립대 정보기술관 지하에 마련된 안 교수의 실험실에서는, 지금도 이런 혁신을 바라는 연구자들이 초미시 세계의 꿈을 꾸고 있다. 상용 양자컴퓨터를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캐나다 ‘D-WAVE’사의 컴퓨터. ...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과 가장 ‘썸’을 많이 탄 과학자는 아인슈타인일 거 같네요. 그는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어요. 1896년 스위스 연방 공대에 입학해 헤르만 민코프스키 등 당 대 저명한 수학자들 ...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 ...
- 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이 가장 쓰이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과학 분야가 바로 생물학 아닐까요? 예전에는 수학에 자신 없는 학생들이 생물학으로 많이 진학했습니다(지금은 아닙니 다). 예를 들어 찰스 다 ...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 ...
- 야구공 뇌는 어떻게 칠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피질의 다른 영역에서 해야 하는데, 감각을 담당하는 피질까지 내려온 거죠. 이상훈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교수와 최경환 연구원팀이 올해 초 신경과학저널에 발표한 논문 내용이에요.캐스터 정말 저 무시하시깁니까.K 사전 확률의 대상에는 심판도 포함됩니다. C씨, 가끔 중계하시다 보면 ‘오늘은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도시에서는 간혹 한 겨울에도 날아다니는 모기가 보인다. 바로 지하집모기다. 1989년 12월, 서울의 한 대형건물 내에 모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는 민원이 들어왔다. 필자를 포함한 조사팀이 현장에 도착해 탐색한 결과 건물 지하에 있는 대형 정화시설에서 모기가 집단적으로 발생하고 있었다. ... ...
이전2662672682692702712722732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