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고등학교
중고
d라이브러리
"
등학교
"(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수학이 많이 적용됐느냐’를 기준삼아 비교하는 일은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관련단원고
등학교
교과과정의 공통과학 물리 및 물리Ⅱ에서 수학이 응용되는 사례를 광범위하게 볼 수 있으며, 그밖에 생물Ⅱ(교차율 계산, 하디-바인베르크 법칙 등)나 화학Ⅱ(화학평형, 반응속도론 등)에서도 수학적 ... ...
꿈의 이동통신시대 준비하는 이론공학자 송익호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그 친구 어려서 집안이 어려웠는데, 그래서인지 지금 모교인 고려대학교 부속고
등학교
에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어요”라고 귀띔한다. 자신이 어려웠기에 다른 사람의 어려움을 배려할 수 있는 여유있는 모습 속에 평범함과 특이함이 모두 들어있다고 하면 좋을까.이동통신이 생활 깊숙히 ... ...
④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나노 분야에 뛰어들게 된 결정적 계기가 있습니까?”“대답은 간단합니다. 나노가 아니면 아무 것도 안되기 때문이죠.”첨단 산업에 대한 기대감 속에 나노 열풍이 강하게 불어닥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을 이끌고 있는 이조원 단장(49)을 만나기 위해 KIST로 향하는 ... ...
로봇공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서는 로봇을 쉽게 볼 수 있을 전망이다. 21세기 첨단과학 로봇공학을 만나보자.올해 고
등학교
에 입학한 K군. 평소 로봇에 관심이 많던 K군은 얼마 전 텔레비전 저녁뉴스에서 흥미로운 뉴스를 보았다. 다름아닌 장난감처럼 생긴 강아지가 실제 강아지처럼 행동하는 장면이었다. 이것이 단순한 장난감이 ... ...
대입 면접고사 가이드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2002학년도 수시모집에서는 다른 때에 비해 심층면접구술고사의 반영비율이 높다.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로 등장한 심층면접. 이번호 과학동아에서는 기존에 출제됐던 주제인 빛의 이중성과 천체의 표면과 대기, 그리고 출제가 예상되는 주제인 유전자의 우열과 확률의 맹점을 다뤘다.1. 유전자의 ... ...
②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 개발사업단장 박종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들 정도다. 하지만 그의 성격이 본래부터 엔지니어에 맞게 갖춰진 것은 아니었다. 고
등학교
시절까지만 해도 그는 스스로 이성보다 감성이 많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다만 자신의 결정을 믿었고, 그 길을 걸어가면서 스스로 발휘할 수 있는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이다 보니 성격도 자연스레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낙제점을 받았고 부모님이 학교에 불려갔다.그러다가 중학교 2학년 여름방학 때 당시 고
등학교
1학년이었던 승진이형을 쫓아 한달 동안 절로 들어갔다. 물론 공부에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한달만 공부하고 오면 자전거를 사주겠다는 부모님의 유혹 때문이었다. 절에 들어간지 1주일이 지나자 ... ...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요!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혼자만의 과학 탐구에 몰두했던 것이다.그의 실험 정신은 이후에도 계속됐다. 고
등학교
시절에는 학생 수학 클럽에 참여해 직관을 통해서 대수계산을 빠르게 하는 방법을 찾아냈고, 자기만의 기호를 고안해 삼각함수를 표기했고, 또 이를 이용해 삼각함수 공식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만들어내기도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말이다.사실 그를 아는 많은 사람들은 그를 외향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는 초
등학교
때까지 너무 내성적이고 말이 없어 부모님께 고민을 만들어 드리기도 했다. 그러던 중 5학년 과학반에 들어간 것은 그의 인생을 결정짓는 작은 불씨가 됐다. 비록 과학경시대회 예비반이었지만 저녁 8-9시까지 ... ...
중학교 과학교과서 컬러시대 열렸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가장 딱딱하고 재미없게 보이는 책을 꼽으라면? 아마 학생들은 ‘교과서’를 뽑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올해 중학교를 입학하는 학생들은 좀 다르게 생각할 듯하다. 교과서가 모습을 싹 바꿨기 때문이다. 어떻게 달라졌을까.우선 외형을 살펴보았다. 첫눈에 들어오는 것은 크기의 변화. 16.9×23.7cm에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