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줄기"(으)로 총 3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심장이 잘려 나가도 생존하는 제브라피쉬의 비결동아사이언스 l2017.06.11
- 세포의 결핍 등이 재생능력이 발현되지 않는 원인으로 꼽힌다. 타즈호르 연구원은 “줄기세포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인해 포유류의 한계이던 심장 재생 능력을 먼 미래엔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심혈관계 질환의 높은 사망률에 대처해 인류의 건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2017.05.10
- 때문이라고 한다. 물론 오늘날 결코 적용할 수 없는 방식이다. 대신 최근 연구자들은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장기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주목하고 있고 최근 FDA도 인체의 장기를 모방한 칩으로 독성실험을 처음 승인했다. 다음으로 실험에 쓰인 재료나 장비의 문제다. 생물의학 분야의 연구자 대다수는 ... ...
- 암 전이에 핵심 역할하는 줄기세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2017.04.02
- 때 간으로 전이가 줄었다. (c)그림=간으로 종양 전이가 일어난 상황에서 DT치료를 해 Lgr5+ 줄기세포가 파괴돼 전체 종양 크기가 줄어든다. 그리고 DT치료를 멈춰도 종양이 다시 자라지 않는다. - 네이처 ... ...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동아사이언스 l2017.02.20
- 탄핵 절차, 미국 비자 요건과 같은 사회 이슈는 물론. 줄기세포 주사, 조류독감(AI), 구제역과 같은 과학 상식까지. 공부할 게 참으로 많은 세상입니다. 이번 사이언스 지식인에서는 과학뉴스에서 설명하지 못한 채 지나간 과학 상식을 해설합니다. GIB 제공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현대 의학의 가장 큰 ... ...
- [사이언스 지식인] 구제역 O형과 A형, 혈액형 같은 건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02.11
- 탄핵 절차, 미국 비자 요건과 같은 사회 이슈는 물론. 줄기세포 주사, 조류독감(AI), 구제역과 같은 과학 상식까지. 공부할 게 참으로 많은 세상입니다. 이번 사이언스 지식인에서는 구제역 뉴스들에서 설명하지 못한 채 지나간 과학 상식을 해설합니다. 동아일보 제공 Q. 뉴스를 보니 구제역 ... ...
-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동아사이언스 l2017.01.07
- ‘크리스퍼’ 소개영상) Q5. 첨단재생의료법은? 첨단재생의료는 면역세포 치료, 줄기세포 치료, 유전자 치료 등 첨단 기술을 사용해 사람의 신체구조와 기능을 재생하는 치료법이다. 현재는 약사법에 따라 복잡한 임상 시험 과정을 거쳐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받아야 한다. 김승희 새누리당 ...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계속 이어졌다. 2014년, 류머티즘 관절염 관련 주요 유전자를 발견했고, 2015년에는 배아줄기세포의 분화능력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인 '폰틴 단백질'을 규명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2016년 초에는 서울대 약대 김성훈 교수팀과 함께 3차원 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암 치료법도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2017.01.02
- 묻혀 형태로 드러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이런 현상을 물이 수로로 흘러들어 한 줄기로 흐르는 것에 빗대어 ‘수로화’라고 명명했다. 와딩턴은 11년이 지난 1953년 역시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환경이 바뀌면 이처럼 숨어있는 변이가 표현형으로 드러나고 선택이 이뤄질 수가 있다고 ...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동아사이언스 l2016.11.14
- 딱히 복구할 방법이 없었다. 이번 연구는 질병이나 사고로 뇌가 손상됐더라도 배아줄기세포를 이식하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연구진은 이번 발견으로 뇌 재생 연구가 좀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2016.10.18
- 없었고 따라서 산소도 붙잡게 됐다. 그런데 대기 중의 산소가 늘어나고 이산화탄소가 줄기 시작하면서 문제가 생겼다. 즉 이산화탄소 대신 산소를 붙잡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광합성 효율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기후가 건조해지면 수분의 증발을 막기 위해 기공을 닫아야 해 세포내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