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여파
효과
반향
스페셜
"
영향력
"(으)로 총 31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호모 사피엔스에서 일어났다는 말이다. 여전히 궁금한 인간형 FOXP2의
영향력
자기 길들이기 또는 사람에 의한 길들이기로 사회성이 큰 쪽으로 바뀌었다 하더라도 결국 언어구사능력을 획득한 건 사람뿐이다. 즉 늑대가 개가 돼 인류와 3만 년을 사는 동안 눈빛만 보고도 서로의 마음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여성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
2018.08.18
넘치고 차분한 모습을 보여도 호감을 얻지 못하고, 특히 남성 구성원들의 거부감을 사서
영향력
을 잃기 쉽다고 한다. 여성이 자신의 똑똑함을 숨기고 ‘자상함’, ‘따듯함’을 어필할 때에야 비로소 거부감이 사라지는 경향이 나타났다고(Carli, 2001). GIB 제공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일반인들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늘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
2018.08.05
않으면 무시당하고, 내세우면 미움받는 딜레마에 빠지기 쉽다. 즉 권력이 약한 사람들은
영향력
도 작거니와 자기 주장을 내세우는 것도 쉽지 않다. 여성의 경우 역시 조직에서 의견을 내세우지 않으면 무시당하고 그렇다고 의견을 내세우면 독하다거나 주제 넘는다는 평가를 받기 쉽다고 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여기에 비하면 채식주의운동이나 동물복지운동이 사람들의 육류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
은 미미하다. 힌두교처럼 삶의 태도를 좌우하는 종교가 아니라면 이런 유혹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손을 놓을 수 없는 게 오늘날 우리가 처한 현실이기 때문에 저자들은 가능성을 모색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이완의 최댓값 차이, 즉 진폭이 줄어든다) 아데노신수용체도 줄기 때문에 카페인의
영향력
이 더 커진다. 즉 밤에도 생체시계 각성도가 충분히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카페인이 얼마 안 되는 수용체를 막아 수면압력도 낮아지면 잠들기가 정말 어렵다. 특히 남성은 40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이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포멜로의 잡종이 그 뒤 여러 차례 만다린과 교배해 나온 것으로 여전히 포멜로의
영향력
이 남아 있다. 스위트오렌지와 그레이프프루트에 대한 기여는 말할 것도 없고 레몬도 엄마가 월귤(sour orange)이므로 외할머니가 포멜로다. 필자는 그레이프프루트를 좋아해서 가끔 사다 먹는데 지난해 기후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제당업계가 하버드대의 영양학 연구나 이 분야 전반에
영향력
을 행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게 아니다. 하지만 당연구재단(SRF)의 리뷰 문헌 지원이 식단 과학과 정책의 방향을 좌지우지했다고 결론내릴 만한 타당한 근거는 없다고 생각한다 - 데이비드 존스 & 제럴드 오펜하이머 영국의 ... ...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
2017.11.25
수 없었던 다양한 실수로 인해 일이 잘 안 됐을 경우 그걸 100% 자신의 책임이라며 자신의
영향력
을 과대평가하는 일 또한 덜 하는 편이다. 단기적으로는 다소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사람들이 더 행복한 경향을 보이겠으나 삶의 굴레를 겪어가는 과정에서 장기적으로는 겸손한 사람들이 가장 건강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가진 최대의 잘못된 생각들 가운데 상당수 역시 타인으로부터 배운 것이다. 사회적인
영향력
때문에 사람들이 거짓 믿음 혹은 편향된 믿음을 갖게 되었다면 특정한 넛지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리처드 탈러 & 캐스 선스타인, ‘넛지’에서 올해 노벨상은 농사로 치면 대풍이다. 과학상 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J.D. 버널 그(로널드 코놉카)는 지도교수인 시모어 벤저와 함께 일주리듬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이 큰 논문(1971년 ‘미국립과학원회보’ 68권 2112쪽)을 발표했다. 이 분야는 이어지는 45년의 많은 부분을 이 로제타석의 의미를 해독하고 중요성을 확인하는데 바쳤다... 그(코놉카)는 일주리듬 문제를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