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언어"(으)로 총 3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2017.01.23
-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 번역 프로그램에 인공지능이 본격적으로 적용되면서 비슷한 언어 사이(영어와 불어, 한국어와 일본어 같은)는 물론 구조가 꽤 다른 영어와 한국어 사이의 번역도 상당한 수준에 올랐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에 나오는 대사 “Long live the king!”을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2017.01.02
- 동안 100명이 넘는 박사후연구원, 대학원생, 학부생이 지도를 받았다. 린드퀴스트는 특히 언어를 중요시해 실험을 잘하는 것만큼이나 논문을 잘 쓰는 것도 중요하게 여겼다. 즉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명쾌하면서도 쉽게 글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2016.12.26
- 관련 국제학술대회에 참석했다가 교통사고를 당해 뇌에 큰 부상을 입었고 후유증으로 언어장애가 생겨 오래 재활치료를 했는데 그가 개척한 교육방법론이 적용된 프로그램이었다고 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2016.12.23
- 관찰로부터 그는 아기가 어른과 초점을 공유하려는 시도가 사물에 단어를 연결하는 언어습득에 필수적인 메커니즘이라고 주장했다. 1980년 미국(뉴욕대)으로 돌아온 브루너는 내러티브, 즉 스토리텔링으로 관심을 돌렸다. 그는 사람 사는 세상에서 논리보다 서사가 더 보편적으로 통한다는 사실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2016.11.28
-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을 했다. 몬트리올이 속한 퀘벡 지역은 프랑스어권이기 때문에 언어의 차이라는 변수를 없앨 수 있다. 연구자들은 퀘벡 캐나다인들이 더 친숙한 냄새 두 가지(당단풍, 노루발풀), 프랑스인들이 더 친숙한 냄새 두 종(아니스, 라벤더), 둘 다 친숙한 냄새 두 가지(딸기, 장미)를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티편] 김정헌 쿠프 대표동아사이언스 l2016.09.30
- 뿐 아니라 진짜 현지 문화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었군요. 제대로 된 의미의 현지화죠. 언어만 바꿔서 하고 싶은 말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현지의 문화와 상황에 맞게 현지인들이 듣고 싶어하는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이요. 카이로 출장에서 느낀 바가 참 많았습니다. 콘텐츠 기획을 이렇게 해야 ... ...
- 화를 내면 화가 풀릴까?2016.09.20
- et al., 2003). 특히 ‘자극추구성(도박 등 짜릿함을 추구하는 행동과 관련을 보인다)’은 언어적, 신체적 공격행위에 대한 욕구/선호와도 관련을 보였다. 위의 실험과 함께 생각해볼때 ‘어쩔 수 없어서’ 화를 낸다고 하지만, 역시 그냥 기분을 좋게 하기 위해 화를 내는 경우도 많지 않을까 의심하게 ... ...
- 사람처럼 도구 이용해 벌레 잡는 하와이 까마귀동아사이언스 l2016.09.19
- 네이처 제공 과학저널 ‘네이처’ 15일자 표지에는 하와이 언어로 ‘알랄라(alala)’라고 불리는 하와이 까마귀의 모습이 실렸다. 크리스천 러츠 영국 세인트앤드루스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미국 샌디에이고동물원 보존연구소, 영국 배스대 등과 공동 연구 결과 하와이 까마귀가 도구를 쓸 줄 ... ...
- 좋은 ‘오지랖’ 방식, 따로 있다2016.09.13
- 조언자가 구체적이고 행동적인 언어만 썼을때보다 다소 추상적이고 높은 수준의 언어를 사용했을 때, 일례로 ‘리스트를 만든다’는 똑같은 행동을 ‘할 일을 적는다’라고 표현했을 때보다 ‘체계화 과정을 거친다’고 표현했을 때 사람들은 더 조언자가 ‘전문적’이라고 평가하며 더 해당 ... ...
- 스킨십엔 정말 애정이 담겨 있을까2016.08.30
- 어렵기 때문에 더 신뢰가 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때로는 언어적 표현보다 비언어적(nonverbal) 표현들이 더 큰 정보를 주기도 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에서 말이다. 예컨대 ‘난 할 수 있어!’라고 하면서 눈동자가 흔들리고 어깨가 움츠러들고 목소리가 떨린다면 그 ‘말’을 얼마나 믿을 수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