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스페셜
"
단위
"(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당국 "고위험군·고령층 1차접종 끝나는 7월 거리두기 개편안 적용"
동아사이언스
l
2021.05.17
근간으로, 수정·보완된 내용을 7월부터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경북의 군
단위
지역 등에서는 개편된 거리두기를 적용 중"이라며 "시범 적용에서 나타난 문제와 효과성을 살펴보고 관련 협회와 단체, 지자체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7월부터 적용할 거리두기 개편을 준비하고 있다"고 ... ...
[우주산업 리포트] 기후변화 감시에서도 기회 찾는 우주산업
2021.05.14
제대로 된 대응책을 세우기 위해선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시설이나 장비처럼 가장 작은
단위
까지 세세하게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며 “그래야만 시민사회 전체에 제대로 된 영향을 줄 수 있다”라고 했다. 민간단체 '카본매퍼'가 추진하고 있는 위성네트워크의 상상도. 카본매퍼 제공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성립
2021.05.13
곱에 비례한다. 이런 힘이 두 물체에 작용하면 두 물체의 가속도가 같아진다. 가속도란
단위
시간당 속도의 변화이다. 지표면에서 자유 낙하하는 물체는 매초 일정한 크기로 속도가 커진다. 두 물체의 질량이 달라도 가속도가 같다면 결국 동시에 땅에 떨어진다. 아인슈타인의 등가원리에서는 조금 ... ...
[랩큐멘터리] 태양보다 100경배 밝은 빛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분의 1초)
단위
로 분석할수 있고,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이보다 수만배 짧은 수십펨토초
단위
로 측정할 수 있다. 김창범 포항가속기연구소 4세대 가속기연구단 XFEL 가속장치부장은 “3세대 방사광가속기가 노출이 긴 카메라라면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노출이 매우 짧은 카메라인 셈”이라고 ... ...
연구개발특구는 이제 '스타트업 거점지구'…직투자 1600억원 주머니 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30
구미와 군산 등 12개 강소특구가 지정돼 있다. 이번 종합계획은 모든 특구에 적용되는 5년
단위
의 특구 관련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K-뉴딜 시대, 대한민국의 대전환을 이끄는 국가대표 연구개발(R&D) 혁신 메가 클러스터로의 도약’을 비전으로 정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저탄소∙디지털 경제를 ... ...
반도체·소부장·감염병·탄소중립 핵심 나노기술에 2030년까지 13조원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30
산업 분야에 활용돼 파급력이 큰 범용기술(GPT)로 꼽힌다. 10억분의 1m의 나노미터(nm)
단위
에서 원자나 분자를 제어하면 재료의 표면 특성이 완전히 달라지고 이를 전자, 에너지, 우주, 의료 등에 적용하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첨단제품을 만들 수 있다. ‘꿈의 나노물질’로 불리며 2010년 노벨 ... ...
2024년 한국형 양자컴퓨터 첫 선…대덕특구 '또다른 50년' 청사진 그린다
2021.04.30
정보를 처리하지만 양자 기술 영역에서는 ‘0’과 ‘1’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최소
단위
인 ‘큐비트’를 사용한다. 이를 활용해 컴퓨터를 만들면 현재 슈퍼컴퓨터보다 이론상 30조배 이상 빠른 연산이 가능해진다. 양자암호통신에 적용하면 정보 탈취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정부는 국내 ... ...
방역당국 "4월 300만명 1차 접종 목표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4.30
“화이자 백신은 매주 일정량 국내에 도입되기 때문에 백신 물량 배정과 배송이 주
단위
로 계획돼 이뤄지고 있다”며 “4월 말까지는 1차 접종에 집중했으며 5월부터 백신 접종 간격이 3주임을 감안해 2차 접종 백신 수요가 늘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근 1차 접종 중단은 2차 접종을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혈전증 유발은 첨가제와 인간 단백질 반응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4.27
1마이크로몰은 100만분의 1몰이며 몰은 원자와 분자의 수량을 합한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다. 100마이크로몰의 EDTA 수치는 다른 백신에서 사용되는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이다. 연구진은 또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백신이 혈관에서 혈액이 새는 혈관 누출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뇌이고 속이 빈 도형은 해상력이 떨어져 유형 확인에 실패한 시료다. 가로축은 시간(
단위
: 100만 년 전)이고 세로축은 뇌용량이다. 사이언스 제공 ○ 아시아 호모 에렉투스의 조상 아냐 분석 결과 드마니시인 다섯 명의 뇌는 모두 유인원 유형으로 밝혀졌다. 비슷한 시기 아프리카에 살았던 초기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