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체
분석
분해
검토
검시
해부학
해산
뉴스
"
해부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컨택트] 외계인 언어 이해하면 그들처럼 생각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2.05
과학기자의 문화산책]영화 ‘컨택트’에 등장하는 ‘사피어 워프 가설’
해부
영화 ‘컨택트’에서 주인공 루이스 뱅크스가 외계인과 소통하려 애쓰는 장면. - UPI코리아 제공 2일 개봉한 SF영화 ‘컨택트(원제 Arrival)’는 외계인과의 만남으로부터 시작한다. 어느 날 갑자기 찐빵처럼 둥글납작하게 ... ...
개코원숭이도 모음을 말할 줄 안다?
과학동아
l
2017.01.28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개코원숭이가 내는 소리의 음향 특성을 분석하고, 혀 근육을
해부
학적으로 분석했다. 그리고는 두 결과를 토대로 개코원숭이가 성대로 낼 수 있는 모든 발성을 컴퓨터 모델링으로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개코원숭이는 후두가 높은 곳에 위치하는데도 불구하고 사람이 ... ...
뇌는 성장하지 않는다?…일부 뇌 조직 증식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같은 방추상회에서도 장소 인식을 담당하는 부위에는 변화가 없었다. 연구진은 사체
해부
를 통해서도 동일한 사실을 재차 확인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제시 고메즈 스탠퍼드대 박사과정 연구원은 “적어도 안면 인식을 담당하는 뇌 부위에 한해서는 뉴런의 수와 조직의 양이 증가한 사실이 ... ...
미켈란젤로 ‘아담의 창조’의 비밀
팝뉴스
l
2017.01.03
사실 인간 뇌의 형상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대뇌는 물론 척수 소뇌 추골동맥 등과
해부
학적으로 모습이 거의 일치한다는 그의 주장은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하기 충분했습니다. 미켈란젤로는 인간의 뇌가 곧 신의 연장이거나 신의 선물이라고 봤을까요? 뇌의 모습을 떠올리면서 보는 ‘아담의 ... ...
60년에 한 번 오는 붉은 닭의 해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01.03
것으로 판명났다. 앤드루 롤러의 책 ‘치킨로드’에 따르면, 독일 뮌헨대 인류학및고고
해부
학과 요리스 페터르스 교수는 당시 “그들이 지층의 연대를 파악하고 정작 닭뼈의 연대는 측정하지 않았다”며 “그들이 주장한 닭뼈는 실제로 약 2000년 전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동남아시아나 ... ...
원숭이가 말 못하는 진짜 이유
과학동아
l
2017.01.01
스펙트럼이 거의 일치했다. 가잔파르 교수는 “원숭이가 말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해부
학적 요인이 아니라 말을 하는 데 필요한 뇌의 신경회로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016년 12월 15일자에 실렸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프린스턴에서 물리학자 부부의 딸로 태어난 진은 생물을 공부하려고 했지만 동물
해부
를 견디지 못해 프린스턴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했다. 공부에 시큰둥하던 진은 방학 때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인턴을 하며 물리학자들이 연구 모습을 지켜보고 물리학에 진지하게 접근하기 시작했다. ... ...
[제13회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콩나물 처럼 보이는 이것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6.12.16
여름이 되면 주름이 많은 붉은색 꽃이 피는 배롱나무의 꽃봉오리를 반으로 갈라낸 뒤
해부
현미경으로 9배 확대해 촬영했다. 배롱나무 꽃에는 암술 한 개와 수술 30~40개가 있는데, 갈라 놓으니 꼭 콩나물이 가득한 것 같다. 응모자는 이 모습에서 중국 요리인 딤섬을 연상했는데, 기자는 아무리 봐도 ... ...
무슨 고민 있을까, 얼굴 찌푸린 돌고래 아가씨
과학동아
l
2016.12.09
표정을 연출하고 있어 재미를 더한다. 중고등부 대상은 배롱나무의 꽃봉오리 단면을
해부
현미경으로 9배 확대해 촬영한 이세은 학생(충북 청주중앙중 3학년)의 ‘콩나물 딤섬’이 차지했고, 초등부 대상은 다육식물의 즙을 먹는 진딧물 가족의 모습을 담은 윤관우 학생(경기 고양시 호수초등 6학년 ... ...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
과학동아
l
2016.11.28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체가 땅 속에 묻힌 뒤에 백골화된 경우라면 더욱 그렇다. 뼈들이
해부
학적인 연관성을 잃지 않고 제 위치에서 고스란히 발견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뼈를 수습할 땐 충분한 시간을 갖고 각 뼈의 연관성을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 만약 현장을 급히 수습해야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