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이
간격
여가
틈새
거리
겨를
짬
뉴스
"
틈
"(으)로 총 456건 검색되었습니다.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궁극의 웨어러블 로봇 가능할까… ‘아이언맨’
동아사이언스
l
2018.05.08
로봇을 입고 활약하는 ‘아이언맨’이다. 그는 로봇의 힘으로 초능력자와 슈퍼영웅들
틈
에서 리더 역할을 훌륭해서 해내는 독특한 캐릭터다. ● 과학적 아이디어, 비현실적 설정 아이언맨의 원작은 미국 만화다. 만화 잡지 ‘마블 코믹스’에 1963년 3월 처음으로 등장했고, 이후 큰 인기를 ... ...
“포항 지진, 지열발전 자극으로 유발 가능성”…논문 2편 ‘사이언스’ 게재
동아사이언스
l
2018.04.27
발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주입정에서 지하 암반에 물을 주입해 인공적인
틈
을 만드는 수리자극을 한다. 이때 상대적으로 높아진 수압으로 규모 3.5 이하의 유발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포항 지열발전소는 2016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5차례에 걸쳐 총 1만2800m³의 물을 주입했다. ... ...
하이힐 신은 여자의 고통
팝뉴스
l
2018.04.25
화장실이었다고 한다. 하이힐을 신고 걷던 여자가 멈추지 않을 수 없다. 배수구의 뚜껑
틈
에 하이힐 끝이 끼어 버렸다. 고통은 생각보다는 컸다. 절대 깨끗하지 않은 것을 손으로 잡아 빼야 했다. 구두를 먼저 벗고 시도했지만 잘 뽑히지도 않았다고 한다. 생각해보면 하이힐을 신고 다니는 일은 ... ...
[도전!섭섭박사 실험실] 팀을 승리로 이끄는 응원도구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4.16
공기를 불어 넣으면 ‘삐리릭-’ 소리가 난다. 호루라기에 바람을 불어 넣으면 좁은
틈
을 따라 공기가 이동해요. 이 공기의 일부는 앞으로 곧장 나가지요. 나머지 공기는 몸체를 따라 흐르면서 안에 든 구슬을 흔든 후 위쪽 구멍으로 빠져나온답니다. 이때 앞으로 직진한 공기의 진동과 구슬을 ... ...
[세상을 바꿀 5G 이야기] ② 1초에 2GB씩 주고받는 밀리미터 웨이브
2018.04.09
LTE의 기지국 커버리지 지도. 통신사당 10만 개 이상의 기지국이 전국을 거의 빈
틈
없이 메우고 있다. 5G는 이보다 더 많은 기지국이 필요하다. - 최호섭 제공 이 기술이 스마트폰에 들어갈 가능성은 더더욱 낮습니다. 모뎀이나 안테나 기술도 갖춰지지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실망할 필요는 ... ...
빠질 것 같은 거대하고 아찔한
틈
팝뉴스
l
2018.04.02
만든다. 화제의 사진은 구도가 뛰어나 긴장감을 일으킨다. 한편 일부 용감한 이들은 이
틈
을 뛰어넘으면서 인증샷을 촬영해 인터넷에 올리기도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헤파필터 비효율 극복, 나노섬유 미세먼지 필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3.29
미세먼지 필터를 지나가면 필터의 입구와 출구 압력차가 생긴다. 즉, 공기가 조밀한
틈
으로 이루어진 필터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다. 이를 압력 손실이라고 한다. 압력 손실이 크면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느려지기 때문에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 ...
카카오 새 대표의 미래 구상 BIG 4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3.27
조 대표는 “플랫폼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기란 쉽지 않다”면서 “IP는 그
틈
을 열 수 있는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승부 카카오의 또 다른 미래전략은 ‘블록체인’에 있다. 카카오는 블록체인 사업을 펼칠 자회사 ‘엑스그라운드(대표 한재선 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번 새기면 수십 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 걸까. 문신을 새기려면 바늘로 피부를 찔러
틈
을 낸 뒤 안료를 진피까지 침투시켜야 한다. 1888년 제작된 일본 목판화로 타투 시술을 받고 있는 게이샤가 손수건을 물으며 아픔을 참고 있는 장면이다. - 위키피디아 제공 피를 보면 진피까지 다친 것 ... ...
인간 학습능력 설명하는 새 이론 70년만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23
학습가설(왼쪽). 신경세포 말단에 위치한 미세 수상돌기의 연결점. 즉 ‘시냅스’
틈
마다 정보의 통과여부를 결정하는 밸브(Red)가 있다. 하지만 이스라엘 바일란대 아이도 켄터 교수는 신경세포체 주변에 위치한 몇몇의 거대 수상돌기에만 정보 밸브가 있어 이를 통해 보다 빠르게 학습이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