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역
역행
퇴보
위축
뒷걸음
후퇴
상반
뉴스
"
퇴행
"(으)로 총 515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붙이고 출력해서 만드는 맞춤형 인공장기의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D 바이오 프린트로 모델링한 생체조직 세계 각국은 심혈관 질환과
퇴행
성질환, 당뇨 같은 만성질환 치료제를 만들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고 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병에 걸려 조직과 장기가 망가져 아픈 환자가 이식을 기다리다 결국 숨지는 경우도 있다. 수많은 제품이 ... ...
제14회 아산의학상에 로날드 에반스·구본권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끌어올리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진홍 교수는 화성 질환 중 가장 흔한
퇴행
성 관절질환의 기전을 규명하고, 세포 내에서 연골세포의 노화를 촉진하는 특정 마이크로RNA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골관절염 진행을 억제하고 연골을 재생시키는 치료법을 개발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유창훈 ... ...
SKT, 유전자 분석으로 불면증·복부비만 관리한다
연합뉴스
l
2021.01.25
2배 이상 확대했다. 새로 추가된 항목은 불면증과 요요 가능성, 근육발달 능력,
퇴행
성 관절염증, 복부비만 등 건강관리에 필수적인 항목이라고 SKT는 설명했다. SK텔레콤 장홍성 광고/Data Co장은 "2배로 업그레이드된 케어8 DNA 유전자 검사로 새로운 헬스케어를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며 ... ...
AI가 치매 예측…이 단백질에 변이 생기면 치매 확률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1
AI)을 이용해 치매를 유발하는 새로운 단백질 후보를 찾았다. 주재열 한국뇌연구원
퇴행
성뇌질환연구그룹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인공지능으로 치매에 걸린 쥐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신호전달 단백질인 ‘PLCγ1’의 유전자 속 염기에서 변이가 많이 일어난 사실을 알아냈다고 21일 밝혔다. 이 ... ...
렘수면 장애 환자에게서 파킨슨병 원인 단백질 축적 확인
연합뉴스
l
2021.01.14
보이는 특발성 렘수면행동장애 환자 가운데 4분의 3가량이 파킨슨병과 치매 등 신경
퇴행
질환으로 진행됐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시누클레인이라는 단백질이 신경세포(뉴런)에 침착되면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 교수는 수면 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위장관에서는 별다른 ... ...
[이덕환의 과학세상]미래 세대에게 떠넘겨버린 탄소중립의 부담
2021.01.06
연합뉴스 제공 대통령이 느닷없이 들고 나온 ‘2050 탄소중립’이 청와대 의전비서관의
퇴행
적 연출에 그 빛을 완전히 잃어버렸다. 당장 눈앞에 펼쳐질 듯했던 초지능‧초연결‧초현실의 화려한 미래가 갑자기 30년 전의 낡은 유행가(‘더 늦기 전에’)와 폐플라스틱 넥타이로 채워진 40년 전 ... ...
[의학게시판] 공현식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상지재건술 지침서 공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서울대치과병원에 협약증서와 현판을 전달했다. ■고려대 구로병원은
퇴행
성 뇌질환 치료전자약 개발기업 오토로직스가 ‘제9회 청년기업가대회’ 최종 예선에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오토로직스는 송재준 고려대 구로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 교수가 창업한 기업이다. 제9회 청년기업가대회는 ... ...
루게릭병 막는 신경보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이를 둘러싼 세포질 사이 물질 수송은 세포 기능 유지에 필수적이다. 루게릭병과 같은
퇴행
성 뇌질환에서 신경세포가 죽는 원인 중 하나가 수송 기능이 망가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루게릭병 환자의 신경세포는 핵과 세포질 사이 물질 수송 방향을 결정하는 ‘RAN 단백질’ 농도가 정상 세포와 ... ...
일반세포를 신경세포로 바꿔 뇌질환 극복한다…김종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정부는 2017년 12월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한 정책을 내놓기도 했다. 김종필 교수는
퇴행
성 뇌질환에 걸려 고장난 신경세포를 되살릴 수는 없지만 여분의 체세포를 신경세포로 교체하는 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비교적 쉽게 재생되는 피부세포와 달리 한번 손상된 신경세포는 재생이 어렵다. ... ...
'뇌 속 독성 산소' 영향받는 반응성 별세포가 치매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16일자에 발표했다. 치매는 대표적인
퇴행
성 뇌질환으로, 치매가 일단 진행되면 뇌 속 신경세포가 죽으면서 인지능력의 쇠퇴가 일어난다. 이 단계가 되면 치매의 진행을 늦출 수 있을 뿐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어, 신경과학자들은 신경세포 사멸이 일어나는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