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등알
알전구
진공관
혈소판
크리스마스전구
전등
뉴스
"
전구
"(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선전력전송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5.12.11
솔랴치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은 2007년 전기를 무선으로 보내 2.1m 떨어진 60W
전구
를 켜는 데 처음 성공했다. 당시 이 성과는 중거리 전송으로는 첫 사례로 기록되면서 무선 충전 기술의 시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하지만 현재 무선 전력 전송 기술 실용화 연구에서는 ... ...
‘코딩’으로 크리스마스트리
전구
켜 볼까
2015.12.03
간단한 게임 같지만 사실 이 과정은 소프트웨어 코딩(프로그래밍)에 해당한다.
전구
모양의 아이콘은 ‘불을 켜라’는 명령어고, 아이콘을 루프 위에 얹으면 이 명령어가 실행된다. 아이루프를 이용하면 음표 아이콘을 움직여 스피커에서 음악이 흘러나오고, 선풍기모양 아이콘을 옮기면 모터가 ...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 ②
과학동아
l
2015.11.30
켜졌다 반복하면서 정보를 전달합니다. LED
전구
가 가진 뛰어난 특성 덕분이죠. 백열
전구
나 형광등과 달리 빛의 밝기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민감한 빛도 잘 감지해낼 수 있습니다. 그래도 이해가 잘 안 가신다고요? (한숨) 사물 인터넷이라고 들어보셨죠? 사물인터넷 환경에 있는 사물들은 ... ...
드론, 예술을 탐하다
2015.11.29
Sparked)’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C8OJsHfmpI 드론 중앙에
전구
를 설치하고 주변을 패브릭으로 감싼 모습. 등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건 드론이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이다. - ETH Zerich, Sparked Team 제공 야외에서는 어떨까. 단드레아 교수팀의 ... ...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 물리학의 대가가 설명해 낸 특이한 효과
과학동아
l
2015.10.30
1초당 나오는 빛 에너지는 빛알 하나의 에너지에 개수를 곱한 값과 같다. 백열
전구
에서 나오는 빛의 에너지를 2W, 파장을 500nm정도로 어림해서 계산하면, 1초마다 나오는 빛알의 수는 무려 1032개가 넘는다. 빛을 띄엄띄엄한 입자모임으로 파악하기가 어려운 이유다. ※ 김범준 성균관대 ... ...
시각은 후천적으로 학습 가능한가
2015.10.25
만들려면 20개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iPS세포로 두 종류의
전구
세포뿐만 아니라, 혈관 같은 신장 주변 세포까지 만들 수 있는 신호 전달 조건을 발견했다. 이를 활용해 태아의 신장 기능을 대신 할 수 있는 인공 신장을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인공 ... ...
피부세포로 척수세포 만들었다
2015.10.25
안전성과 기능성을 검증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제작한 희소돌기아교
전구
세포는 자가재생과 증식이 가능하고 희소돌기아교세포와 성상세포로 분화할 수 있어 앞으로 척수손상환자를 위한 세포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전했다. 연구 결과는 유럽분자생물학회 학술지인 ‘엠보(EMBO) ... ...
“힉스 입자 성공 요인은 개방 시스템… 세계 과학자 모여 장벽 없이 연구”
2015.10.20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더 좋은 양초를 만드는 일이 응용과학이라면 기초과학은
전구
를 만드는 일인 셈”이라며 “기초과학이 없다면 새로운 시장이 열리지 않아 응용과학조차 설 자리가 좁아지게 된다”고 덧붙였다. 베르톨루치 부소장은 한국과의 공동연구도 언급했다. 그는 “현재 ... ...
에너지를 팝니다! 에너지 슈퍼마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14
만들 때 쓰는 합성수지) 재질의 플라스틱에 예쁜 꽃잎을 그린 뒤, 잘라서 둥글게 말아
전구
에 끼우면 완성! 어때? 우리가 만든 램프플라워 정말 멋지지? 이처럼 간단한 아이디어가 낭비되는 에너지를 잡을 수 있다니! 우리들도 에너지를 절약할 아이디어를 생각해 보자. 생각이 에너지라고 하잖아! ... ...
식물 ‘메이애플’서 항암제 합성 원료 발견
2015.09.13
합성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항암제 에토포시드의
전구
체인 ‘포도필로톡신(podophyllotoxin)’을 더욱 쉽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 ‘사이언스’ 11일 자에 발표했다. 메이애플. - USDA(위키피디아) 제공 연구팀은 포도필로톡신을 생산하는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