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동체
액체
유형
동체
뉴스
"
유체
"(으)로 총 42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신형 서울대 교수, 세계 양대 조선학회 석학회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왔다. 서울대 측은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오픈소스 CFD 연구개발을 진행하며 선박
유체
역학 분야에 CFD 활용도를 높인 업적이 인정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앞으로 세계 조선학계에서 후학들을 위한 교육과 산업계를 위한 연구에 매진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겠다”며 ... ...
약물 과다투여 의료사고 막는 정밀한 유량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줄일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은 이석환 열
유체
표준센터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분당 주입량이 한 방울도 안되는 극미한 약물까지 실시간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시간당 2밀리리터(mL)의 극미한 투약량까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 ...
KAIST, 퇴직 교수와 신진 교수 협업하는 '초세대 협업 연구실' 추가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9.03
대사공학 및 시스템 헬스케어 연구실과 성형진 기계공학과 교수의 헬스케어 음향미세
유체
연구실이 운영을 시작했다. 지난해 7월에는 장기주 물리학과 교수의 응집물질계산물리 연구실과 유룡 화학과 교수의 촉매설계 및 화학반응 연구실이 운영을 시작했다. 추가로 개소하는 연구실은 김성찬 ... ...
'녹조 잡는 공기방울' 미세버블 펌프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3
유체
회전운동이 발생해 물과 공기가 잘게 부서지며 더 작은 미세버블을 형성하게 된다.
유체
가 높은 압력으로 들어와도 구조적으로 더욱 견고해 내구성도 높아졌다. 연구팀이 개발한 미세버블 펌프의 모습이다. S자형 날개를 개발해 미세버블을 더 작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노로바이러스 검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검출 센서의 원리.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됐을 것으로 의심되는 물 샘플을 종이 미세
유체
칩에 스며들게 하고, 노로바이러스에만 특이적으로 붙는 항체를 스며들게 한다. 이 항체에는 형광을 내는 물질이 붙어 있다. 만약 샘플 안에 노로바이러스가 있어 항체들이 들러붙으면 그 개수만큼 형광 신호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같은 부피의
유체
가 밀려난 것이다. 따라서 부력의 크기는 물체가 잠기면서 밀어낸
유체
의 무게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무세이온 소장을 역임한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크기를 측정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일화에 따르면 어느 해 하지 한낮에 시에네라는 지역의 한 우물에 태양빛이 수직으로 ... ...
균일한 촉감 자랑하는 인공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균일한 촉각을 느끼는 인공피부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미세
유체
공정을 이용해 균일한 크기의 미세한 공기 구멍을 지니는 고분자 스펀지를 만들었다. 그런 뒤 여기에 촉각 센서를 설치할 경우 촉각 신호가 얼마나 균일하게 나올지 스펀지 구멍의 크기와 관련해 분석했다. ... ...
태풍 와도 안전한 건물 나오나…국내 연구팀 '
유체
저항 0' 메타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이용해 이론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마치 파도처럼 평면 상으로 퍼지는
유체
일 경우 저항력을 5분의 1 수준으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송 교수는 “선박과 비행체, 차량 등에 응용하면 연료효율을 높일 수 있다”며며 “특히 전투기, 미사일 등에 응용하면 날아가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으로 나노미터급 미세소관 움직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생활을 하며 한 협업 중 가장 훌륭한 것”이라며 “DNA 나노 기술 분야와 화학 공학 및
유체
역학 분야의 사람들에게 많은 피드백을 받아 이런 연구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 ...
스마트폰앱 버튼 누르니 뇌에 칩 심은 쥐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스마트폰앱을 이용한 마이크로 LED 컨트롤을 하는 모습. KAIST 제공 연구팀은 중합체 미세
유체
관과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를 결합해 머리카락 두께의 유연한 탐침을 만들었다. 이를 소형 블루투스 기반 제어 회로와 교체 가능한 약물 카트리지와 결합했다. 그런 다음 스마트폰 앱을 통해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