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단위"(으)로 총 3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전체 빅데이터로 질병 유전자 80% 예측…신약 개발 비용·시간 확 줄인다동아사이언스 l2018.03.26
- 남덕우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팀이 최근 개발한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 알고리즘(GSA-SNP2)을 이용한 질병 유전자 예측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고 있다. 이 알고리즘은 질병 유전자 후보군을 기존보다 2~5배 많이 발굴해낼 수 있다. -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유전체 빅데이터를 이용해 질 ... ...
- 손바닥 만한 기계로 게놈 해독하는 나노포어 기술, 한 번에 더 긴 가닥 읽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02.09
- 손바닥만 한 기기로 유전체 정보를 해독하는 기술이 큰 진전을 이뤄냈다. 한 번에 읽어낼 수 있는 염기량을 획기적으로 늘렸다. 나노포어 테크놀로지에서 개발한 게놈 해독 기기 ‘미니언’ 나노 포어 기술은 염기 서열의 전기 신호를 이용해 DNA 단일 가닥을 빠르게 읽어내는 기술이다. - 나노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③] 로봇은 새로운 종(種)일까… ‘오토마타’동아사이언스 l2018.02.08
- 영화 오토마타 포스터 - 인피니티 엔터테인먼트 제공 생물학에서 종(種)이란 단어를 자주 사용한다. 표준 국어대사전에선 종에 대해 ‘생물 분류의 기초 단위. 속(屬)의 아래이며 상호 정상적인 유성 생식을 할 수 있는 개체군’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쉽게 말해 ‘교미(인간은 성교)를 통해 자손을 ... ...
- 위험한 병원체, 이렇게 관리하세요...생물안전 종합안내서 발간동아사이언스 l2018.02.05
- 한국생물안전안내서(Korea Biosafety Standard and Guideline)’가 5일 발간됐다. - 한국생물안전안내서 발간위원회 제공 생명을 다루는 병원이나 연구소에서 위험한 병원체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돕는 종합 지침이 나왔다. 우리나라 첫 생물안전 종합안내서다. 보건복지부, 국립수산과학원 등 6개 부 ... ...
- [표지로 읽는 과학] ‘조직 재생’ 비밀 담긴 멕시코도롱뇽 DNA 염기서열 해독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02.05
- 네이처 제공 이번주 ‘네이처’ 최신호 표지에는 멕시코 중부에 위치한 호히밀코 호에 서식하는 점박이도롱뇽과의 일종인 ‘우파루파(암비스토마 멕시카늄)’의 모습이 담겼다. 이 도롱뇽은 팔다리나 꼬리는 물론이고 심지어 뇌, 척수 부분에 손상을 입어도 회복이 가능할 정도로 재생 능력이 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나이가 들수록 ‘새옹지마(塞翁之馬)’라는 고사성어가 마음에 와 닿는다. 한마디로 세상일은 어떻게 전개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일희일비할 게 아니라는 말이다. 다들 아는 얘기겠지만 요약하자면 이렇다. 중국 변방에 살던 한 노인의 말이 국경을 넘어 도망치자 이웃들이 안 됐다고 위로했는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②] 로봇 3원칙에 대한 고민… ‘아이로봇’동아사이언스 l2018.01.26
- 영화 아이로봇(I, Robot, 2004) 스틸컷 제공 ‘로봇이 인간에게 반항하면 어떻게 할까? 로봇이 인간을 지배하려 드는 건 아닐까?’ 실제로 이런 우려를 나타내는 사람을 의외로 자주 볼 수 있다. 로봇 전문가 중에선 이런 걱정을 하는 사람을 찾기 어렵지만, 생각 외로 지식인 계층에서도 로봇 기술의 ... ...
- 치매 치료제, 침체 딛고 일어나나동아사이언스 l2018.01.19
- 실험실의 쥐는 몇 달 뒤 치매를 앓을 예정이다. ‘APP/PS1’이라는 이름의 이 쥐는 치매를 앓도록 유전자 변형을 한 모델 동물. 생후 두 달 뒤 실험에 투입되고, 40주(10개월)차가 되면 기억력 저하 증세를 보인다. 뇌를 살펴보면 여지없이 치매와 관련된 뇌 속 노폐물인 아밀로이드 베타가 쌓여 있다. ... ...
- 2018년 황금 개의 해 아닌 황금 늑대의 해일 수도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8.01.05
- 2018년 무술(戊戌)년은 육십갑자로 따지면 누런(黃) 개의 해다. 누런색이 금색과 닮아 복을 부르는 의미로 ‘황금개’의 해라고도 한다. 그런데 개의 기원을 살펴보면 황금개가 아닌 ‘황금늑대의 해’라고 불러야 할지도 모른다. 그동안 개라고 알려졌던 과거의 흔적을 따지고 보면 개와 늑대가 섞 ... ...
- 당뇨병 정복에 필요한 건 ‘희귀 유전자’ 총량동아사이언스 l2017.12.28
- 서울대를 비롯한 7개국 국제 공동 연구팀이 당뇨병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 현상을 분석해냈다. 당뇨병처럼 원인 규명이 어려운 복합 질환에 대한 희귀 유전 변이 연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박태성 서울대 통계학과 교수팀은 같은 학교 원성호 보건대학원 교수팀, 전구 미국 텍사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