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뉴스
"
시야
"(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밀 현미경 100년 노하우로 암세포 3차원 영상 얻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수 있다. 에다 유키오 올림푸스과학개발2부 부장은 “세포를 관찰할때 기존의 현미경의
시야
는 극히 제한적이었다"며 "리얼타임 매크로맵 기술로 넓은 영역을 확대해 지도를 그려보면 세포 간 상호 영향으로 변해가는 모습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나가노=김진호 기자 twok@donga ... ...
우주에서는 크리스마스를 어떻게 보낼까
2018.12.21
후 며칠이 지나 달을 선회하면서 의도하지 않은 방향의 변화가 일어나 지구가 그들의
시야
로 들어왔습니다. 함께 있던 3명의 우주비행사 중 한 사람인 빌 앤더스는 그 순간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크리스마스이브의 지구를 촬영했습니다. 우주에 떠있는 지구는 파란색과 흰색이 섞여 아름답게 ... ...
드라마 ‘알함브라’속 AR 콘택트렌즈, 실제 가능할까
2018.12.14
미국 IEEE에서 전기전자통신을 연구하는 마이크 주드는 “콘택트렌즈형 AR 기기는
시야
의 일부를 어둡게 하고, 각막에 전자장치가 달라붙는 이물감으로 눈을 피로하게 만들 것”이라며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안구 환경, 무선 주파수와 배터리 등의 난제가 남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및 ... ...
[영상]한반도 태풍·국지성 폭우 감시할 ‘천리안 2A호’발사 성공
2018.12.05
카운트다운이 끝나자 높이 54.8m의 우주발사체가 땅을 박차고 하늘로 솟아올랐다. 로켓이
시야
에서 사라지고 30여 분 뒤 ‘위성 분리’를 알리는 표지판에 불빛이 들어오자 통제동에서는 환호와 함께 박수가 터져 나왔다. 우리 손으로 만든 정지궤도 기상관측위성 ‘천리안 2A호’가 우주로 떠난 ... ...
실험용원숭이는 왜 고압전류 위험 무릅쓰고 사육장을 탈출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소동물인 만큼 마취총 대신 블로건(마취제 입으로 쏘는 기구)을 사용해야 했는데,
시야
에서 금세 사라져 포획이 쉽지 않았다. 결국 구조당국과 센터는 구조용 덫을 설치해 포획에 성공했다. 김 센터장은 “원숭이가 멀리 떠나지 않도록 주변에 과일과 사료 등 먹이를 뿌려놓고 추적 관찰하면서 ... ...
곤충 눈 구조 모방한 초박형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이번에 개발한 카메라가 기존 광학장비보다 훨씬 더 얇으면서 상대적으로 훨씬 넓은
시야
각과 높은 분해능을 갖췄기 때문에 군사용 감시 정찰 장비, 의료용 영상기기,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소형 이미징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 교수는 “초박형 카메라를 제작하는 ... ...
빛 마음대로 조절하는 ‘초박형 렌즈’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만들지 못했는데, 지름 2cm의 실용적인 크기로 제작한 세계 최초의 사례”라며 “
시야
각도 기존의 25도에서 최대 100도 이상으로 크게 높여 AR의 몰입도를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메타렌즈를 1일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하고, 증강현실을 표현하는 차세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범위인
시야
각 140도의 절반이다. 화면 오른쪽이나 왼쪽 끝을 주목했을 때 반대쪽 영상이
시야
에 들어오려면 70도 이내여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8K 영상과 4K 영상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실질적인 범위는 1.03m에서 1.31m 사이인 18㎝라는 말이다. 시력이 아주 좋으면서 TV를 아주 가까이에서 보는 소수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열정에 도리어 먹히다
2018.11.10
지속가능하기 어려운 형태의 열정이라는 것이다. 잘 해내야 한다는 두려움으로 우리의
시야
를 가려 멀리 내다보지 못하게 만든다는 것. 적당히 애쓰자 만약 좋아해서 선택했던 일이 어느 순간 하나도 즐겁지 않은 부담 덩어리가 되었다면, 혹시 내 안의 강박이 지나친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는 ... ...
암세포 전이 과정-우주진화 연구…계산과학 새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형태의 거대구조가 형성됐음을 알 수 있다. 입자 수를 늘릴수록 이런 거대구조를 더 큰
시야
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다. 고등과학원은 9년 만에 새로 도입된 국가 연구용 슈퍼컴퓨터 5호기를 이용해 2~3조 개 입자로 세계 최대 규모의 우주 진화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계획이다. - 자료: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