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칙
원리
원칙
규정
법
규범
이치
뉴스
"
법칙
"(으)로 총 52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묻는다면 자연의 보편
법칙
을 찾는 것이라는 말이 가장 교과서적인 대답이다. 무슨 무슨
법칙
이라는 말 자체가 예외 없이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규칙이라는 말에 다름 아니다. 뉴턴이 성공적으로 근대과학을 확립할 수 있었던 것도 천상과 지상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보편중력의
법칙
(Law of ... ...
“무어의
법칙
한계를 뛰어넘어라”… 차세대 정보저장 기술개발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않아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자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니 무어의
법칙
한계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스핀의 특성을 활용하면 더 작은 반도체에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는 의미다. 과학자들은 전자 하나의 스핀을 이용하기보다는 집단으로 제어해 정보 저장과 전달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불과하다. 돌멩이 하나가 어떤 별 중심을 도는 데에 걸리는 시간에 자연의 보편
법칙
이 깃들어 있지는 않다. 이렇게 생각해 보면 더 쉬울 것이다. 1960년의 정의로는 우주 반대편에 있는 외계인에게 1초를 설명할 길이 없다. 태양이 뭔지, 지구가 뭔지 알게 뭔가. 미국 국립기술표준원(NIST) 연구진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유롭게 장벽을 가로지르는 전자의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22
금속침을 댄 다음 전자를 흘려보내, 전자가 얼마나 통과하는지 측정했다. 물리
법칙
이 적용되는 세상에서는 전자가 장벽에 부딪혀 대부분 튕겨나간다. 양자역학계에서도 양자터널링 현상이 발생하면서 일부 전자는 통과하고 나머지는 튕겨나간다. 하지만 연구팀이 실험한 결과 상대론적 ... ...
'장벽 통과하는 입자 현상' 이승훈 박사 국제연구팀 규명
연합뉴스
l
2019.06.21
1929년 스웨덴 물리학자 오스카 클라인이 이론적으로 예측한 현상이다. 일반적인 물리
법칙
이 적용되는 세상에서는 입자가 장벽을 만나면 튕겨 나온다. 하지만 상대성 이론이 적용된 양자역학에서는 입자가 통과할 수도 있다. 상대성 이론은 시간과 공간이 관측자에 따라 상대적이라는 ... ...
"특이점은 신화일 뿐" AI 전문가 장 가브리엘 가나시아 교수 한국에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경험을 공식화한 것에 불과”하다며 “블랙홀과 같은 특이점에 가까워질수록 통상의
법칙
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가나시아 교수는 1970년대부터 지식 습득과 기계 학습 분야를 연구해 온 AI 전문가다. 파리6대학 정보학연구소 인공지능 연구팀 ‘인지 에이전트 및 기계적 기호화 학습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들 법도 하다. 이 정의를 완전히 이해하려면 원자 이하의 미시세계를 지배하는 자연
법칙
인 양자역학을 어느 정도 알아야 한다. 양자역학을 자세하게 설명할 기회는 나중에 다시 있을 것이다. 여기서 꼭 알아두어야 할 점은 이렇다. 모든 원자는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로 떨어질 때 ... ...
사랑이 부담스러운 고양이
팝뉴스
l
2019.06.12
사랑과 관심만큼 좋은 것은 없다. 따뜻한 포옹은 가장 큰 행복이다. 하지만 예외 없는
법칙
은 없다. 어떤 존재로서는 사랑과 관심 그리고 포옹이 싫을 수 있는 것이다. 사진 속 고양이가 그런 경우다. 두 마리의 고양이가 꼬옥 껴안았다. 눈을 감고 상대의 체온을 느끼는 것 같다. 그런데 가운데 낀 ... ...
[프리미엄 리포트] 문외한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총정리
과학동아
l
2019.06.08
읽어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존 컴퓨터의 반도체 구조는 정보의 병목 현상, 무어의
법칙
(반도체 집적회로의 메모리 용량과 속도가 1년 6개월마다 두 배 증가한다는 내용) 등 한계가 많았다. 뉴로모픽 반도체는 이를 돌파하기 위해 나왔다. 뇌신경망처럼 뉴런과 시냅스 구조로 반도체를 설계해, ... ...
뇌세포 닮은 저전력 광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단점이 있다. 박 교수는 “이미 2007년 ‘무어의
법칙
’의 주인공 무어가 10~15년 뒤 무어의
법칙
이 한계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며 “반도체 나노공정이 3~5nm 공정에 가면 전자끼리의 간섭으로 발열이 심해진다”고 말했다. 뇌가 작은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하나를 켤 정도의 적은 전력(20W 미만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