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실현
성공
완수
수행
도달
업적
뉴스
"
달성
"(으)로 총 1,83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필요악' 스트레스 활용법도 중요하다
2024.03.16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는 생각의 전환 ④ 불안과 긴장 같은 신체적 반응도 목표
달성
을 위해 적절히 활용하는(시험을 잘 보기 위해 커피를 덜 또는 더 마시는 등) 반응 조절. 즉 무조건 각성 상태를 낮추고 고요한 상태를 유지하려 하기보다 긴장도나 각성수준이 높을 때 더 수행능력이 ... ...
역대 최강 우주선 '스타십' 48분간 비행 후 교신 끊겨…"절반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이번 시험비행이 완전히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스타십 개발 과정에서 큰 이정표를
달성
했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궤도에 오르는 속도에 도달했고 스타십 우주선과 슈퍼헤비 로켓 모두 지난해의 두 차례 테스트보다 훨씬 더 멀리 비행했다는 것이다. 또 스페이스X는 이날 비행 중 스타십의 적재함 ... ...
[과기원NOW] KAIST, AI가 알아서 업데이트하는 선택 알고리즘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보고된 주석-납 할로겐화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최고 광전변환효율인 23.74%를
달성
했다. 기존 방식으로 제작했을 경우 19% 효율을 보인 것과 대비해 약 20% 성능이 향상된 것이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박상현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스탠퍼드대학 연구팀과 협력해 논리적 ... ...
스페이스X, 역대 최강 우주선 ‘스타십’ 오늘 3차 발사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통신 두절로 자폭했다. 스페이스X는 "앞선 두 번의 비행 테스트로 주요 이정표를
달성
함으로써 스타십이 급속도로 발전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세 번째 비행도 테스트이며 최대한 실제 비행 전 많은 학습을 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세 번째 비행 테스트에서 스타십은 우주에서 ... ...
[정치에 도전한 과학자들] ④조천호 "기후위기 대응책 뒷전, 법·제도로 대응"
과학동아
l
2024.03.14
조천호 전 국립기상과학원장. 김태희 제공 [편집자주] 동아사이언스는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에 영입된 과학기술인의 목소리를 연재 ... 절대 아닙니다. 다만 열심히 길을 닦아가며 나아간다면 제 뒤로 따라 오는 누군가가
달성
할 수 있는 꿈이라고 생각합니다. ... ...
의대교수 이탈 조짐에도 정부 "의대 증원 유예·축소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뜻을 밝혀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협상의 여지는 없으며 반드시 의료개혁을
달성
하겠다고 밝혔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제자들의 불이익을 막기 위해 사직한다는 것은 사직의 이유가 될 수 ... ...
UNIST·재료연 '우수' 핵융합연·항우연 '보통'…2023년 하반기 기관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출연연 기관평가는 출연연의 임무 및 역할, 책임에 따라 수립된 계획서에 대한 목표
달성
도, 성과의 우수성을 점검하고 기관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평가다. 기관장 임기 동안의 경영 성과를 평가하는 ‘기관운영평가’와 기관의 중장기 연구목표에 대해 최대 6년간의 연구 성과를 평가하는 ... ...
스페이스X, 역대 최강 우주선 '스타십' 14일 3차 발사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모든 테스트는 학습을 위한 것"이라며 "앞선 두 번의 비행 테스트로 주요 이정표를
달성
함으로써 스타십이 급속도로 발전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세 번째 비행 테스트에서 스타십은 우주에서 랩터 엔진을 재점화하고 궤도에 오른 우주선을 다시 지구로 재진입시키는 시도를 한다. 최종적으로는 ... ...
AI 거대언어모델 0.4초만에 처리…삼성 28나노공정으로 초저전력 AI반도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방법이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SNN의 에너지 효율성을 유지하면서도 DNN 수준의 정확도를
달성
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인공지능반도체용 하드웨어 유닛은 기존 거대 언어 모델 반도체 및 뉴로모픽 컴퓨팅 반도체에 비해 4가지의 특징을 지닌다. 먼저 DNN과 SNN를 상호 ... ...
누리호 연소기 용접 심장 '전자총'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연구에서는 전자빔 용접기의 핵심인 ‘전자총’과 ‘구동전원 시스템’의 국산화를
달성
하는 데 성공했다. 높은 성능도 확인됐다. 세계 최고 수준인 60킬로와트(kW)의 출력과 120킬로볼트(kV)의 가속전압을 가졌다. 전자빔 용접기는 전자총의 가속 에너지가 높을수록 소재 내부로 열원을 침투시킬 수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