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양이
뉴스
"
나비야
"(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컴퓨터의 핵심 ‘스핀방향’ 제어 실마리 찾아
2014.12.17
연구진은 방사광 가속기로 만든 원형의 빛으로 나노 구조체의 스핀을 관측한 결과 혼돈(카오스) 현상이 중요한 원리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UNIST 제공 한국인 과학자가 이끈 한·미 연구진이 양자컴퓨터의 핵심 기술인 전자의 스핀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냈다. 이기석 ... ...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에 야생동물 수명 줄어
2014.09.23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배출된 방사성 물질이 야생동물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기형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BMC 진화 생물학' 24일자에 발표됐다. 조지 오타키 일본 류큐대 교수팀은 나비에게 방사성 물질인 세슘에 오염된 먹이를 먹였더니 수명이 짧아지거나 날개 모양 ... ...
이 아인슈타인, 도대체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21
용산 전자상가의 어느 평범한 건물, 그 곳 옥상에 들어선 수상한 천문대! 해질 무렵 이곳에, 두 이야기꾼이 나타났다. 핀란드에서 온 오로라 공주 따루 살미넨, 대한민국의 유쾌한 천문학자 박석재 박사! 두 MC가 쏟아내는 온갖 잡담과 별을 향한 뒷이야기! 우리나라 유일의 고품격 천문프 ... ...
시각예술+과학기술… 요즘 미술계 대세도 ‘융복합’
동아일보
l
2014.03.18
[동아일보] ‘다이내믹 스트럭처 & 플루이드’전과 ‘버터플라이즈 2014’전 《 ‘오큘러스 리프트’란 3차원(3D) 게임을 위해 개발된 장치다. 특수 고글처럼 생긴 장치를 착용하면 마치 입체 영상 속으로 들어간 듯 가상현실이 펼쳐진다. 서울 중구 태평로 플라토미술관에서 열리는 작가 정연두 씨의 ... ...
X-선으로 나노세계 손바닥 보듯 들여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위키피디아 제공 독일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이 1895년 발견한 ‘X-선’은 전자가 핵과 충돌해 속도가 줄어들 때 발생하는 전자기파다. 물질을 쉽게 투과하는 성질을 갖고 있어 병원 방사선과, 공항 보안 검색대 등 우리 생활 곳곳에서 사용된다. 연구자들은 X-선을 주로 물질 구성 관찰에 사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2014년 갑오(甲午)년을 청마해라고 부르는 말을 처음 듣고 필자는 ‘백마띠는 들어봤어도…’라며 출처를 의심했지만, 중고교 시절 국어시간에 배운 시인 유치환의 호가 청마라는 게 떠올라 근거 없는 말은 아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튼 청마는 상징적인 표현으로 보이는데, 이 세상에 파란 ... ...
시간여행으로 바뀌는 미래 정말 행복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UPI코리아, CJ엔터테인먼트 제공 H.G 웰즈가 1888년에 선보인 SF소설 ‘타임머신’이후 시간여행을 소재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선을 보였다. 시간여행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대박’은 아니더라도 ‘쪽박’을 차지 않을 정도로 사람들의 꾸준한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 인간이란 불 ... ...
올해 최고의 과학뉴스는 ‘나로호 3차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3.12.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013년 가장 주목받은 과학뉴스로 ‘나로호 3차 발사 성공’이 꼽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5437명의 투표 결과와 위원회 심의를 거쳐 선정한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를 11일 발표했다. 14일간 진행된 이번 10대뉴스 투표는 과학기술인 2867명, 일반인 257 ... ...
순간의 물방울도 머물지 않는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네이처 제공 검푸른 표면 위로 물방울이 네 갈래로 쪼개져 튕겨져 날아가고 있다. 표면의 정체는 모르포 나비의 날개. 모르포 나비의 날개는 물방울이나 습기가 달라붙지 않는 소수성 성질이 매우 강하다.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물기가 표면에 묻지 않게 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한 미국 MIT ... ...
현대과학이 밝혀낸 선덕여왕의 착각
동아사이언스
l
2013.10.27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마사 바이스(Martha Weiss) 박사는 란타나(Lantana Camara Linn)라는 열대 식물의 꽃 색깔은 맨 처음 노란색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렌지색을 거쳐 빨간색으로 변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꿀의 양은 노란색일 때 가장 많고 빨간색일 때에는 거의 없다. 바이스는 여러 색의 꽃이 섞여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