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 '나선형 무늬' 목격담 잇따라…스페이스X 로켓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5.03.26
발사된 로켓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브라이언 콕스 영국 맨체스터대 물리학과
교수
도 소셜미디어를 통해 “하늘에 나타난 나선형은 로켓 발사와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미국 우주기업인 스페이스X의 우주발사체 ‘팰컨9’이 나선형 무늬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 ...
"발견만 하면 노벨상"…韓 과학자, 암흑물질 '액시온' 찾는 5년 여정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6
땄다. 세제처럼 문제를 깨끗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뜻이다. 김진의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는 1979년 '보이지 않는 액시온(Invisible axion)'이라는 개념을 처음 제시하며 액시온이 존재한다면 가질 질량의 범위를 좁혀 제시하기도 했다. 윤 CI는 "액시온은 CP 문제와 암흑물질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 ...
의대생 대규모 제적 사태 임박…'제적 시한 연장 요청' 검토하는 의협
동아사이언스
l
2025.03.26
사이에서도 자발적인 복귀를 권유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강석훈 강원대 의대
교수
는 최근 의협 산하 의료정책연구원이 개최한 포럼에서 “학생들은 일단 학교로 돌아와 현실적인 이득을 챙겨야 한다”며 복귀를 독려했다. 고려대 의대의 전 학생대표 5명은 실명 입장문을 통해 “개인의 ... ...
KAIST 창업기업 폴리페놀팩토리, 산불 피해 복구 2000만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3.26
전달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폴리페놀팩토리 대표인 이해신 KAIST 화학과 석좌
교수
는 “아직 작은 스타트업이지만 국가적 재난 앞에서 작은 힘이라도 보태고 싶었다”며 “화재 현장에서 진화 작업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소방관 여러분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리며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 ...
특정 단백질만 정밀하게 변형…바이오 결합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6
정밀하게 변형하는 바이오 결합 기술을 개발했다. 포스텍은 오승수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디옥시옥사노신’이라는 화합물을 분자 인식 물질인 ‘압타머’와 결합해 특정 단백질의 원하는 부위만 정밀하게 변형하는 기술을 구현했다고 26일 밝혔다. 단백질을 활용한 바이오 결합 기술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대 편입 확대는 이공계 죽이기…화해·공존의 길 찾아야
2025.03.26
넘어 화해와 공존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필자 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
교수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 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3200여 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 ...
"누가 불렀나?"…달릴 때 남의 말 안 들리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3.26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이승희 시냅스뇌질환연구단 부연구단장(KAIST 생명과학과 부
교수
) 연구팀이 동물실험을 통해 행동 상태에 따라 감각 정보를 다르게 통합하는 뇌의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동물은 눈으로 보는 정보와 귀로 듣는 정보를 동시에 받아들이며 살아간다. 가령 TV를 ... ...
산불 '질식'시키는 토종 산불지연제도 안통한 의성 산불
과학동아
l
2025.03.26
원인이 됐다"고 주장했다. 당시 패널로 함께 참석한 차두송 강원대 산림과학부 명예
교수
는 "임도가 산불을 키운다는 주장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같은 해 한국산림기술인회와의 인터뷰에서 "산불 발생시 풍속과 풍향은 임도가 아닌 기상 및 지형 상황에 영향을 받는다"면서 "풍속이 ... ...
26일은 '퍼플데이'…"발작 유발 '뇌전증', 좌절할 필요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26
뇌전증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없음에도 불구하고 뇌전증 발작이 반복적으로 발생해 만성화된 질환이다. 3월 26일은 뇌전증 인식 개선의 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3월 26일은 뇌전증 인식 개 ... 위험한 상황을 일으킬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황경진 경희대병원
교수
...
주사 한번에 97일 효과 '임플란트 피임약'…인간 임상시험 예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3.25
약물의 농도와 조성에 따라 그 이상도 가능할 것이라 예상했다. 연구를 이끈 트래버소
교수
는 “약물 용량과 주입량은 수년간 지속되는 피임 효과를 위한 기준과도 호환된다”며 “형성된 고체 임플란트는 필요 시 제거가 가능하며 소형 바늘로도 투여할 수 있어 실용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