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충
버그
곤충류
육각류
뉴스
"
곤충
"(으)로 총 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단백질 공급원은 '동물반식물반'?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문제가 될 여지가 있는지 면밀히 연구하며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며 “감염병의 경우도
곤충
은 인간과 생물학적으로 매우 먼 동물이라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 ...
트럼프 노벨상 타긴 탔다. 엽기노벨상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악어에 헬륨 가스 먹여 울음소리 측정 팬데믹 정치에 이용한 정치지도자 9명 '의학 교육상' 경제 소득 높을수록 키스 자주해 2020 이그노벨상 수상 ... 담긴 종이 상장과 10조 짐바브웨 달러를 받았다. 또 올해 주제가
곤충
으로 꾸며졌던 만큼
곤충
을 인쇄한 대형 종이 주사위도 받았다. ... ...
[화보+] 좀비 딱정벌레·웃는 거북…네이처가 선정한 최고 과학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손상된 딱정벌레. 데미언 에스큐어 제공 ‘좀비 균류’라는 이름을 가진 동충하초는
곤충
의 신경계를 공격하고 그들을 죽인다. 호주 캔버라국립대 생물학자인 다미엔 에스케레가 찍은 이 사진은 저널 ‘BMC이콜로지’의 연례 이미지 콘테스트에서 생리생태학 부문 우승을 차지했다. 희고 매끈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구원한 건 아이러니하게도 필록세라를 프랑스에 가져온 미국의 포도나무였다. 미국의
곤충
학자 찰스 라일리는 미국 자생 포도나무가 필록세라에 저항성이 있다는 데 착안해 이를 대목(臺木: rootstock)으로 쓰고 유럽포도를 접수(接穗: scion)로 해 접붙이기를 하자는 의견을 냈다. 라일리와 플랑숑은 ... ...
"난 먹어봤자 살아나와"…콩알물땡땡이 슈퍼 생존법
연합뉴스
l
2020.08.04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포식자의 장(腸)을 지나 배설물과 함께 항문으로 탈출하는
곤충
이 확인돼 관심을 끌고있다. 일본 고베대학과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생물학자 스기우라 신지 박사는 논에 사는 수생 딱정벌레 '콩알물땡땡이'(Regimbartia attenuata)가 개구리에게 먹힌 뒤 항문을 통해 ... ...
세계 최초
곤충
액션캠이 촬영한 세상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외에도 무거운 배터리를 몸에 달고 움직이기는 쉽지 않다. 연구팀이 개발한
곤충
용 액션캠은 가로 1.6cm, 세로 2cm, 두께 2cm에 무게는 250mg(밀리그램)에 불과하다. 어른 손바닥만한 가장 큰 딱정벌레가 짊어질만한 크기에 포커 카드 한장의 10분 1 수준 무게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카메라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동물행동학자에서 과학행정가로 변신한 후베르트 마르클
2020.07.16
막스플랑크 협회 제공 과학행정가로 완전히 변신하기 전까지 마르클이 연구했던 주제는
곤충
들이 어떻게 감각기관을 통해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가였다. 그는 이런 연구들을 통해 동물의 사회성 연구로 점점 영역을 확장해나갔다. 동물행동학이 독일에서 전성기를 구가하던 당시에 베르트 ... ...
거저리 유충이 플라스틱 성분 분해…국내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0.07.15
효과적인 분해 기술 개발을 기대할 수도 있다. 제1저자인 우성욱씨는 어린 시절부터
곤충
을 활용한 연구에 관심을 뒀고 대학에 입학하자마자 차 교수를 찾아가 지도받으며 실험에 몰두해왔다. 교신저자인 차형준 교수는 "플라스틱 분해 박테리아를 이용하면 완전 분해가 어려웠던 ... ...
4억2천만년전 가장 오래된 벌레 화석 스코틀랜드서 발견
연합뉴스
l
2020.06.09
전문가의 생각보다 더 빨리 진화가 일어났을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이번 발견을 통해
곤충
과 식물의 진화 과정과 관련해 새로운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호숫가에서 군집 생활을 하던 이 벌레가 불과 4천년 만에 복합적인 산림 생태계로 서식지를 옮긴 것으로 추정돼서다. 이는 ... ...
뿌리 유전자, 식충식물에선 잎에서 발현돼
과학동아
l
2020.06.02
꽃가루를 만드는 꿀샘과 관련된 유전자가 식충식물에선 잎 가장자리에서 발현돼
곤충
을 유혹하는 휘발성 물질을 분비하는 역할을 했다. 연구팀은 식충식물 3종의 유전자 수도 비교했다. 그간 식충식물은 새로운 영양 섭취 방식을 개발하기 위해 일반 식물보다 더 많은 유전자를 가졌을 것으로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