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모퉁이
구석
모서리
어귀
길목
카메라앵글
뉴스
"
각도
"(으)로 총 649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한반도 에너지 문제 해결 대안으로 떠오른 해상풍력발전
과학동아
l
2020.02.01
것을 ‘요잉’이라고 한다. 풍력발전기가 자동으로 최적의 바람 방향을 찾아 회전날개의
각도
를 조절할 때(이를 ‘피치 제어’라고 부른다) 요잉 과정을 통해 내부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등 실제 운용에서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조절한다. 김 본부장은 “요잉과 피치 제어는 자동화됐다”며 ... ...
발가락을 닮은 당근 ‘화제’
팝뉴스
l
2020.01.18
증거를 제시했다. 당근은 정말 사람 발바닥을 닮았다. 발가락의 크기 및 위치 그리고
각도
까지도 비슷하다면서 많은 네티즌들이 놀라워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영상+]발가락 이용해 날개 쥐락펴락… ‘비둘기 비행’의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칭적인 관절과 발가락의 움직임이 날카로운
각도
로 비행할 때도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준 것이다. 렌틴크 교수는 “비둘기가 주로 발가락을 사용해 비행 방향을 잡는다는 첫 번째 증거”라며 “이번 연구는 혁신적인 항공기를 개발하는 데 영감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의 사과
2020.01.09
나무 바로 아래에 떨어진다. 만약 뉴턴이 그 사과를 집어 들고 사선으로 (지면과 적당한
각도
를 이루면서) 던지면 사과는 갈릴레오가 예측한 대로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다가 결국 땅에 다시 떨어진다. 뉴턴이 사과를 더 세게 던지면 (세게 던진다는 말의 물리적 의미는 초속도를 크게 한다는 ... ...
목숨 걸고 일하는 사람들
팝뉴스
l
2020.01.04
위험하다. 해외 SNS에서 주목 받은 위 사진에서 사다리는 하늘을 향해 거의 90도
각도
로 서 있다. 전깃줄에 문제가 생겨서 고치려고 나섰던 것 같다. 문제는 사다리는 사람들이 붙잡고 세웠다는 점이다. 그것도 차가 다니는 차도 한 가운데에서 작업을 한다. 보는 사람들마저도 아찔한 순간이다 ... ...
6각으로 각잡힌 얼음, 만들어질땐 '삐뚤빼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이들이 모여 얼음이 된다. 산소 원자 하나와 수소 원자 두 개로 이뤄진 물 분자가 특정한
각도
를 갖고 있어 분자가 모일 때 가장 안정한 구조인 6각형 구조를 만든다. 예를 들면 눈꽃의 결정을 현미경으로 보면 아름답고 다채로운 모습을 띠면서도 6방향으로 같은 모양의 6각 대칭 구조를 만드는데 ... ...
'이달의 KIST인'에 3D 인체 모션캡쳐기술 개발한 김진석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12.25
센서, 비틀림 센서를 조합한 다양한 구조로 제작해 3차원 형상과 구부러짐
각도
, 비틀림
각도
등을 측정한다. 이 기술을 활용해 정확한 센서가 장착된 전신 착용형 슈트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상현실(VR) 콘테츠 기업인 ‘모인’이라는 업체에 기술이전도 완료해 VR을 이용한 게임, ... ...
우리은하 중심부도 폭발적 별 생성…'역사' 다시 써야
연합뉴스
l
2019.12.17
'호크아이'(HAWK-I)를 이용해 은하 중심부의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확보했다. 이 이미지의
각도
분해능은 0.2각초(1각초=3천600분의 1도)로 8㎞밖에서 1센트 동전 두 개를 구분할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약 1천광년에 걸쳐 있는 은하핵 디스크의 별들 중 약 90% 이상이 빅뱅 직후인 약 ... ...
[주말N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
2019.12.14
김윤재 여러분은 안 풀리는 문제를 풀 때 어떻게 하나요? 수학자는 여러
각도
로 문제를 생각해봅니다. 때로는 문제를 더 어렵게 바꿔보는데요, 그게 오히려 문제를 쉽게 해결하게 만들기도 하고 새로운 연구 주제를 탄생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번 호에 소개할 ‘하트비거의 추측’ 역시 4색 문제를 ... ...
시커먼 실리콘 태양전지 투명하게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2
이강민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사람은 두 물체와 눈이 이루는
각도
가 60분의 1도 이하이면 두 물체를 식별하지 못한다”며 “이 원리를 이용해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구조를 만들었고, 실리콘 태양전지도 투명하게 만들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공동 1저자인 김남우 UNIST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