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사업"(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깨끗할수록 덜 엄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212
- 2001년부터 서울의 연세대학교와 제주의 탐라대학교, 울산의 울산대학교에 각각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을 설치하는 우주전파관측망 사업을 진행해 왔어요. 이것이 최근 완성되어 지난 12월 2일 준공식이 열렸답니다. 세 곳에 설치된 전파망원경은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지름이 500㎞인 전파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해요. ...
- 쏴아아아~ 강이 거꾸로 흐른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닥터고글, 겨울은 농사일이 적어서 내가 시간이 많아. 그러니 이 곳에서 사람들에게 거꾸로 흐르는 강과 철새 떼를 보여 주며 관광 사업을 해 보는 건 어떻겠소? 내가 지은 햅쌀 밥은 실컷 먹여 주리다!” “아하하…, 저…, 저는 겨울에도 사건 의뢰가 많아서 시간이 없답니다. 냥냥아, 빨리 가자~.” 오늘도 도망가는 닥터고글. 역시 똑똑한 닥터고 ...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아이디어가 비슷하다. 무인 운전이기 때문에 운전자들이 양 손을 창 밖으로 내밀고 있다. (사진 제공/캘리포니아 첨단자동차및도로사업단) LED는 운전자에게 여러 가지로 유용하다. 안개가 낀 날이나 어두운 밤에도 밝게 빛나기 때문이다. 앞 차가 전혀 보이지 않아도 앞에 보이는 LED 등을 보면 앞 차와의 간격도 알 수 있어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2)어린이과학동아 l20080714
- 즉 ‘사스’는 비행기 여행을 통해 병이 퍼져 나간 대표적인 사례다. 사스는 중국에서 최초로 발생했다. 하지만 얼마 뒤 한 미국인 사업가가 사스에 감염된 채 베이징에서 싱가포르로 가는 비행기에 탑승했다. 그 여행 도중 홍콩인, 대만인, 중국인 등 무려 22명이 감염되었고, 감염된 환자를 치료한 의사와 간호사도 사스에 걸렸다. 얼마 뒤 사스는 유 ...
- 바다영웅 전설, 우리 바다를 지켜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80630
- 미래의 우리 바다를 지킨다! 오호~, 나까지 찾아오다니 정말 꼼꼼하게 바다영웅을 찾았구나! 우리는 한국해양연구원 심해연구사업단 연구원으로 태평양에 있는 우리나라 바다를 조사하고 있단다. 태평양에 우리 바다가 있다는 사실이 놀랍지? 우리나라는 지난 2002년 UN해양법에 따라 자원을 탐사하고, 탐사한 자원을 가질 수 있는 태평양 속 우리나라 바다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2)어린이과학동아 l20080514
- 방송국을 세웠다. 그러자 RCA는 풍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정부에 로비를 벌여 암스트롱이 FM라디오 주파수를 못 쓰게 만들었다. 결국 사업에 실패한 암스트롱은 1954년 스스로 목숨을 끊고 말았다. 조금만 빨랐어도! - 엘리샤 그레이 (1835~1901) 전화를 발명한 사람은 알렉산더 벨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벨과 거의 동시에 전화를 발명한 ...
- 우주도 식후경, 잘 먹겠습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외국인에게도 인기가 좋은 불고기와 비빔밥, 잡채, 식혜 등을 우주식품으로 개발할 계획이지. 앞으로 화성에 우주인을 보내기 위한 사업의 하나인 ‘마스 500 프로젝트’에도 참여해서 한국우주식품을 계속 개발하는 것은 물론 한국 음식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앞장설 거야. 그러니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우주로 갈 때는 더 다양하고 맛있는 한국 음식 ...
- 최고의 비행기를 뽑아라!(1)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없을 땐 발사대에서 발사되니 산이 많은 우리나라에 딱 맞는 무인비행기란다. 헬기와 비행기가 한 몸에 있어요 {BIMG_c13} 스마트무인기사업단 무인비행기는 한 몸에 헬기와 비행기의 장점을 모두 담았어. 활주로가 없어도 헬기처럼 수직으로 뜨고 내리고 비행기처럼 고속으로 날아가지. 기존 무인 헬기보다 두 배 빠른 시속 500㎞로 5시간 동안 난다 ...
- 훈련받는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않아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어요. 그런데 대우조선해양이라는 회사가 이 사업에 참여해 5년 동안 200억 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하면서 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어요. 위그선은 물 위를 몇 m 떠서 나는 배예요. 지난 7월 28일 경상남도 당항만에서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작은 위그선이 처음 선을 보였죠. 앞으로 만들 대형 위그선은 길이 77m ...
- 천재 앵무새의 마지막 한 마디 “사랑해”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이날 시작됐다. 인간 DNA 속에 있는 30억 개의 염기서열을 순서대로 하나하나 찾으려 한 것이다. 아폴로 프로젝트 이후 최대의 과학 사업으로 불렸던 인간게놈프로젝트는 2004년 마무리되었다. 인간의 설계도는 앞으로 난치병 치료 등 다양한 곳에 쓰일 것이다. {BIMG_R10}1950년 10월 6일 곤충연구가 석주명 사망 석주명은 1908년 1 ...
이전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