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대통령"(으)로 총 4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닠ㅋㅋㅋㅋ포스팅 l20210105
- 대통령 테스트 했는데 트럼프가 나온거 있죠 ㅋㅋㅋㅋㅋㅋㅋ https://app.m-nitpick.com/v1/web/event/11/public 이게옄ㅋㅋ ...
- 1000문 1000답 ( 힘드러요 .. 많이 봐주세요 )포스팅 l20201230
- ?? ㄴㄴ717. 머리감을때 비누,샴푸중 어느걸 쓰나? 샴푸718. 마를린 먼로와 마돈나 중에 누가 더 낫나? 그게 누군데719. 미국 대통령중에 젤 맘에 드는사람은? 바이든720. 샤워할 때 비누를 쓰는가? 아님 바디클린져 쓰는가? 둘다 안써721. 내가 아는 젤 심한 체벌은? 사형722. 태양빛이 좋은가, 달빛이 좋은가? 달빛723. 거울 ...
- 일본정부가 코로나를 예측한영화. 신 고질라.기사 l20201224
- 거대괴수에 꼬리가 발견되죠. 일본 정부는 이괴수가 육지에 창륙하지 못한다고 했죠. 그 다음, 괴물이 육지에 올라온 뒤,일본 대통령은 이렇게 말하죠. 그렇게 말해야 국민이 안심하잖아! 그런데!실제 일본정부도 이것과 거의 유사한 말을 했대요! 실제 일본 정부는 이렇게 말했죠. 감염속도는 느려서 안심해도 됩니다. 숨기는 거 없습니다. 헐...... ...
- 만세와 천세포스팅 l20201221
- 보면 좀 슬프기도 하네요... 암튼 일본이 고종황제를 폐위시키면서, 다시 '대한제국'이 아닌 '조선'으로 돌아갔다네요... 너무 슬퍼요. ㅠㅠ 요즘은 황제가 대통령으로 바뀐 것 같더라고요. 그냥 추측인데(아직 안 배움) 우리는 만세를 부르니까 저는 그런 쪽으로 추측한 거예요. 암튼 이만 폿팅을 끝낼게요. (e학습터 하러가야해서 ㅠ.ㅜ ... ...
- 부르즈 할리파 건설에 관련된 것기사 l20201218
- 이것은 부르즈 할리파입니다. 사진:부르즈 할리파(출처:두바이 사랑방 하우스) 아랍어로 부르즈는 탑, 할리파는 아랍에미리트에 대통령 이름에서 딴 것입니다. 부르즈 할리파를 건설한 기업은 바로 한국에 삼성물산입니다. 부르즈 할리파에는 공사비15억 달러, 사용한 철근은 8만 톤, 인력은 850만 명. 2009년 10월에 완공되었습니다. 201 ...
-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 TOP3를 알아보아요!기사 l20201217
- 찍으신 사진) 1위는 바로! 두바이에 있는 부르즈 할리파입니다! 부르즈는 아랍어로 '탑'이라는 뜻이며, 할리파는 아랍에미리트 대통령의 이름인 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하얀에서 땄습니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의 신도심 지역에 건설된 초고층 건물로, 전체 높이는 828m입니다. 2010년에 완공이 되었고, 상업 시설과 주거 시설, 오락 시설 등을 ...
- 제 고민좀 해결해주세요...!포스팅 l20201217
- 저희반에 엄청 좀 낮가림이 심하다고 해야하나? 암튼 그런친구가 있는데, 막 친한친구가 아니면 약간 짜증섞인 말투로 말하고, 잘 못들었을 때 한 번만 더 질문해보란 듯이 자기가 뭐 나라의 대통령인듯 막 대답하면서 그냥 자기 할말하고, 제가 뭐라고 하면 들은 척도 안해요. 정말 기분나빠가지고, 때리고 싶은 정도인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냥 가까 ...
- ㅋㅋㅋㅋ 친구 바보 만드는 법포스팅 l20201217
- 고민) ... 나 : 손잡이는 커피잔 바깥쪽에 붙어있지롱! 24탄 나 : 컨닝을 열번 말해봐. 친구 : 컨닝, 컨닝, 컨닝. 나 : 미국의 초대 대통령 이름은? 친구 : 링컨. 나 : 워싱턴이지. 25탄 나 : 개나리를 열번 말해볼래? 친구: 개나리, 개나리, 개나리, 개나리, 개나리, 개나리, 개나리, 개나리, 개나리, 개나리. ...
- 12월의 기억한 DAY! 기사 l20201211
-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은 3월 15일을 소비자의 날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1962년 3월 15일, 그 때 당시 대통령이었던 존 F 케네디 대통령가 소비자 보호에 관한 특별교서’를 발표하고 소비자의 4대 권리를 발표했던 날을 기념해서 3월 15일을 ‘소비자권리의 날’로 정해 기념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날에 기념행사 ...
- 경복궁이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가 안 되어 있다고 ?!기사 l20201202
- 복원 작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 그리고 그 자리에 조선총독부가 지어졌었고, 정부청사 및 박물관으로 쓰다가 김영삼 전 대통령 때 한번 헐었답니다 . 이렇게 두 번 불에 탔지만 살아 남았으니 가치가 더 높아질 텐데,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왜 등재가 되어있지 않을까요 ? 이유는 중건이 되어서입니다 . 정리해보자면 총 6번 정도의 훼손 3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